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해
검토
해석
평가
코프롤라이트
비교분석
비교
d라이브러리
"
분석
"(으)로 총 5,442건 검색되었습니다.
왼손잡이에 대한 또다른 발견
과학동아
l
201009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유전학이 발전했다. 최근 영국 옥스포드대의 연구팀은 분자 정신
분석
학(Molecular Psychiatry)지에 게재한 논문에서 ‘LRRTM1 유전자’가 오른손잡이와는 다른 왼손잡이만의 특성과 뇌의 구조에 관한 단서를 밝혀줄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고려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09
화학물질이나 방사능물질을 조사한다. 스나이퍼 감지 장치를 장착한 팩봇은 총소리를
분석
해 저격수의 방향과 고도, 거리를 알아내기도 한다. 포스터-밀러의 탈론도 여러 가지 장비를 바꿔 달면 정찰부터 전투까지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부상자를 후방으로 운반하는 로봇도 등장했다. ... ...
아라온호, 첫 북극 탐험서 미세조류 관찰
과학동아
l
201009
말했다. 아라온호의 목표 중에는 해빙이 있는 해역에서 사는 미세조류를 채취하고
분석
하는 연구도 있었다.이를 위해 아라온호의 생물학자들은 커다란 해빙에 내려 얼음에 구멍을 뚫고 아래쪽 바다에 사는 미세조류를 채취했다. 극지연 극지기후연구부 김영남 연구원이 소속된 연구팀은 최대 4m ... ...
사람이 영리한 이유는 머리와 몸이 따로 놀기 때문
과학동아
l
201009
결과를 내놨다.그들은 척추동물 가운데 가장 하등한 어류와 가장 고등한 사람을 비교
분석
했다.어류와 사람 사이에 뇌 발달 정도 차이가 나는 이유로 연구팀이 주목한 것이 바로 ‘목 관절’이다. 목이 생기면서 뇌가 발달했다고 본 것이다.어류와 사람은 같은 척추동물인 데다 어류의 ... ...
나로호 내년에 세 번째 발사
과학동아
l
201009
결론짓고 재발사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15일 밝혔다.재발사는 2차 발사실패의 원인을
분석
하고 개선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감안해 내년 중 이뤄질 전망이다. 양측은 가장 유력한 원인을 찾기 위해 추가 시험을 진행할 것이며 이때는 상대방 입회 하에 실시한다는 데 합의했다. 추가 시험이 끝난 ... ...
에너지 ‘1등급’ 오랑우탄의 말 못할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09
체질 때문에 오랑우탄의 성장과 번식이 느려졌고 결국 대를 잇기도 어려워졌을 것이라고
분석
했다. 실제로 사람은 약 2년마다 출산이 가능한 반면 오랑우탄은 7~8년마다 새끼를 갖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8월 10일자에 나왔다 ... ...
‘자연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009
단층촬영)으로 등에 박힌 화살촉의 각도와 깊이를
분석
했고, 위장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분석
해 빵이 소화된 결과물과 봄에만 날리는 꽃가루 등을 찾아냈기 때문이다. 스미스소니언 교양과학 백과 시리즈 8권 ‘과학수사 법과학’에 실린 내용이다. 스미스소니언 협회는 영국 과학자 제임스 ... ...
LED가 만들 형형색색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09
우수한 물성을 갖는 화합물반도체 물질을 성장시키고 이들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분석
한다. 이를 바탕으로 우수한 발광효율을 갖는 LED소자를 연구해왔다. 그중 필자는 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기를 이용해 대표적인 화합물반도체 중 하나인 질화인듐갈륨을 성장시켰다. 물질 내 인듐과 갈륨의 ... ...
꼬마 천문학자들의 천문대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9
우리는 1.8m 도약망원경을 보고 천문학자들이 망원경에 들어오는 별빛을 관찰하고
분석
하는 관측실을 구경했어. 하늘과 맞닿아 있는 이 곳에서 밤에 별을 보면 어떤 느낌일까? 수십억 광년을 여행하고 지구에 도달한 별빛과 단 둘이서 대화하는 느낌이 아닐까? 우린 이런 상상을 하면서 보현산에서 ... ...
달리기 시합의 우승자는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9
측정해 볼까요? 총 28개 발자국의 전체 길이와 가장 긴 중간 발가락의 길이를 바탕으로
분석
해 본 결과, 약 시속 15~20㎞로 총총 뛰던 작은 수각류가 나중에는 시속 40㎞까지 속도를 내며 뛰었다는 사실을 알아 냈어요. 더 신기한 것은 그 뒤로 다시 한 걸음의 거리가 일정해졌다는 거예요. 시속 40㎞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