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가
국토
국민
겨레
민족
세상
배달나라
d라이브러리
"
나라
"(으)로 총 3,481건 검색되었습니다.
3. 걸음마 배우는 우리
나라
SF
과학동아
l
199908
아직까지 우리
나라
SF는 서구에 비하면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걸음마 단계라고 할 수 있다. 각국의 SF 시장 규모가 그
나라
의 경제 수준 ... http://www.koreacon.org). 이 대회가 SF에 대한 인식 변화와 동호인의 저변 확대는 물론 우리
나라
SF의 수준을 한단계 상승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
입안에서 사르르 아이스크림
과학동아
l
199908
스웨덴, 핀란드와 같은 북유럽 국가에서 아이스키립 소비가 더 많다. 그 이유는 남쪽
나라
들은 과일이 풍부하기 때문에 디저트로 아이스크림이 설자리가 그만큼 좁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이렇게 예상을 빗나가는 것은 아이스크림 판매량에서도 벌어진다. 날씨가 무조건 덥다고 아이스크림이 잘 ... ...
3. 위험일 경고하는 바이오리듬
과학동아
l
199908
잃을 수 있는 운전자의 경우 위험일은 가급적 피하고 싶은게 당연하다.실제로 세계 여러
나라
에서 자동차 운전자에게 위험일을 피하라는 ‘경고’가 내려지고 있다. 한국의 경우 1984년 치안본부 교통과에서 바이오리듬에 주목하고, 내무부장관 지시로 과거 1년간 교통사건을 분석했다. 그러자 93%의 ... ...
우주여행의 파이어니어들
과학동아
l
199908
1961년 4월 12일 오전 9시 7분 보스토크(러시아어로 ‘동쪽’이라는 뜻) 1호가 서서히 우주를 향해 솟아올랐다. 얼마 후 그 안에 탑승한 유리 가가린(1934-1968)은 ... 18호와 소유즈 19호의 도킹으로 일단 막을 내렸다. 엄청난 비용이 쏟아야 했던 우주경쟁을 두
나라
모두 감당하기에 벅찼던 것이다 ... ...
2. 달착륙 생방송은 조작극?
과학동아
l
199907
했다. 성조기 때문에 NASA가 진짜 곤혹을 치른 것은 생방송 조작극이 아니라, 달은 어느
나라
도 소유할 수 없다는 국제조약이었다.1967년 1월 27일 국제연합(UN)은 ‘외계우주조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 조약에 따르면 달을 포함해 외계 우주공간은 어떤 국가의 전유물이 될 수 없다. 따라서 달에 미국의 ... ...
온실효과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199907
없고, 태양열발전이나 태양광발전은 대단위 전력생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
전력 수급계획도 이런 상황을 고려해 만들어졌다. 1995년 원자력과 화석연료의 비율은 34.5% 대 63.1%였는데, 2010년에는 45.5% 대 53.1%가 될 전망이다 ... ...
1.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199907
8호가 성공하자 러시아는 모든 유인 달 선회 계획을 보류하고 말았다.이제 승부는 어느
나라
가 먼저 달에 착륙하느냐로 넘어갔다. 이를 위해서는 달로켓이 완성되어야만 한다. 미국의 달로켓은 폰 브라운에 의해 개발된 새턴V 로켓이다. 러시아는 코롤료프의 N1로켓을 발전시켜 개발하기로 한다. ... ...
① 신종 괴질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907
교류가 활발해지고 인간의 생활권이 확대됨으로써 세계가 더욱 가까워진 만큼 다른
나라
의 바이러스와 만날 기회가 많아지고 있는게 사실이다. 세계에서 무역 10대국에 속해 있는 한국으로서도 신종 바이러스의 위협을 남의 일로만 여길 수 없는 듯하다.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은 '비자도 국경도' ... ...
3. 미래의 달여행
과학동아
l
199907
있다.그러나 에리케의 달기지 건설계획은 이론적으로만 연구됐을 뿐 실제로 관심을 갖는
나라
는 없다. “인간의 마음과 영혼은 그들이 다루는 우주와 함께 성장한다”는 에리케의 말이 너무 사치스럽게 들렸던 것일까.달은 대기가 없기 때문에 생물이 살기에 어려운 곳이다. 호흡할 수 있는 산소를 ... ...
수학사의 미스터리 마방진
과학동아
l
199907
방진을 모아놓고 또 자신이 고안한 다양한 형태의 배열그림도 소개하고 있다.또한 우리
나라
에서도 방진 연구가 있었는데, 획기적인 공헌을 한 사람은 조선 후기 유학자이자 수학자인 최석정(호는 명곡, 1646-1715)이었다. 그의 책 ‘구수략’에는 3차에서부터 10차까지의 마방진이 서술돼 있는데, 특히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