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스페셜
"
진
"(으)로 총 2,50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인 협동조합'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9.12
힘쓰고 있는데, '과학기술인 협동조합 소식지'를 발행하거나 사례 발굴·확산을 지속해서
진
행하고 있다. 과학기술인 협동조합은 과학기술인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과학기술 역량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조직이다. 좋은 일자리를 만들고 꿈을 실현하고자 ... ...
과학기술인 복지, 지역 간 온도차 낮추려면?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9.12
: 과거 정부는 지방과학에 대한 투자 비율 40%라는 목표치가 있었으나 현재는 희미해
진
게 사실입니다. 물론 정부의 한정된 예산으로는 한계가 있겠지만 지방과학이나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는 당장 성과가 나타나지 않더라도 미래를 위해 결코 포기해서는 안 되는 정부 정책목표가 돼야 합니다. ... ...
콜레라, 혈액형 O형이라면 특히 조심해야
2016.09.07
결합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인생의 베일’의 월터 페인의 성격은 A형일지 몰라도
진
짜 혈액형은 O형이지 않았을까.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 ...
가장 효과 좋은 알츠하이머 치료 후보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9.04
가능성이 높은 은빛 물질을 발견했다. 돈은 세레스 상공 380㎞ 궤도를 돌며 관측작업을
진
행했다. 현재 NASA는 추가 관측을 위해 돈의 궤도를 1400㎞로 높이는 공전궤도 수정 작업을 벌이고 있다. ... ...
"광학 이미징의 새로운 장을 열어가겠습니다"
IBS
l
2016.09.01
이미징으로 생체 조직 깊은 곳을 자세히 들여다보는 데 있어서는 최 부단장 연구
진
이 현재 세계 최고 수준에 있다. 최 부단장은 더 나아가 단일 산란뿐 아니라 다중 산란까지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그는 "한 번 산란된 빛만 이용하면 근본적으로 더 깊은 곳을 관찰하지 못한다"며 "두 ... ...
광유전학, 빛으로 뇌의 비밀 풀고 새로운 치료법 찾는다
IBS
l
2016.09.01
이미 접어든 상태다. 지난 5월 19일 '네이처'는 미국 사우스웨스트망막연구재단 의료
진
이 망막색소변성증에 걸린 시각장애인 15명을 대상으로 첫 광유전학 임상시험을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인체에 무해한 광활성 바이러스를 환자의 눈에 주입해, 제 기능을 잃은 광수용체세포 대신 빛을 감지해 뇌에 ... ...
유사 블랙홀로 호킹복사 관찰했다!
2016.08.29
필자는 슈타인하우어 교수의 실험을 이해하는데 실패했지만 많은 물리학자들이 중요한
진
전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아직 호킹 교수의 반응이 나오지는 않은 것 같은데 어떻게 평가할지 궁금하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지각구조 이해할 새 도구 찾았다… ‘폭풍 지
진
파’ 첫 탐지
동아사이언스
l
2016.08.28
거리가 지구와 태양 거리의 5% 수준으로, 11.2일마다 중심별 주위를 한 바퀴를 돈다. 연구
진
은 프록시마 b의 표면 온도가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0~100도 사이일 것으로 추정했다.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도 높은 셈이다. 이전까지 발견된 지구형 행성 중 가장 가까운 것은 지난해 발견된 ... ...
유전자 하나만 꺼도 무더위 못 느낀다
2016.08.22
10년 전 발표된 논문에서 보고됐다. 그럼에도 이번 논문 이전까지 온도센서의 관점에서
진
지하게 TRPM2를 보지는 않은 듯하다. 가장 큰 이유는 TRPM2의 초기 연구가 온도 지각과는 전혀 관계가 없어 보이는 조울증이나 인슐린 분비 등에 집중됐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체감각 정보를 척수로 전하는 ... ...
땀 흘린 뒤 마신 시원한 맥주 맛을 잊을 수 없는 이유
2016.08.16
적당히 나눠 마시는 게 좋다고 한다. 아마도 노화로 인해 갈증뉴런의 감도가 떨어
진
게 원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