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자기
디지털
디지탈
digital
전기
전자껍질
껍질
d라이브러리
"
전자
"(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통해 저장매체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도달한다. 이러한 과정은 시각기와 닮아 있다.‘
전자
코’라는 향기 센서는 공기 중의 향기를 분자로 분석하고 정보로 저장한다. 또한 필요할 때 기본적인 화학물질을 이용해 유사한 향기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 과정 역시 후각기와 유사하다. 이 밖에도 ... ...
총상 위치 알리고 유아 돌연사 막는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덕분이다. 이 기술은 어린이뿐 아니라 노인이 길을 잃었을 경우에도 유용하다.세계적인
전자
제품 기업인 필립스에서는 이 기술을 익스트림 스포츠 의류에 적용해 위험한 순간을 예방하는 옷을 개발했다. 첨단 스노보드복과 산악자전거복에는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이 ...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발전할 것이라 보고 있다. 평소에는 볼펜으로 쓰다가도 휴대전화나 컴퓨터 등에서는
전자
펜으로 쓰게 될 것이다.이지 체크(줄자)눈금마다 톱니처럼 홈이 나 있어 길이를 잴 때 정확하고 빠르게 눈금을 읽을 수 있다. 또 줄자 윗면에는 시각장애우를 배려한 수표점자가 있어 물체나 공간의 길이를 잴 ... ...
지구가 뿔났다? 아이슬란드 화산 대폭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SO2), 황화수소(H2S) 같은 산성 기체들이 있는데, 공기 중 수증기와 만나 강한 산이 되면
전자
제품을 부식시키기도 한다나 뭐라나. 친구들은 이번 화산 폭발로 뭐 피해 본 것 없어?캐롤라인(im-Karoline) 2010.04.23. 접속 위치: 노르웨이 베르겐.안녕, 라라. 나는 노르웨이에 사는 캐롤라인이야. 캐리라고 ... ...
PART 1 수학이 사라진 아침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자석이 회전하면서
전자
파를 발생하는 자기센서가 있다. 속도계기판은 여기서 발생하는
전자
파로 거리를 알아 낸 뒤 이를 시간과 계산해서 바늘을 움직인다. 이때 이동거리는 미적분 등을 이용해서 계산해서 얻는데, 간단하게 풀이하면 자동차 바퀴 둘레에 바퀴 회전수를 곱한 값이다.이동거리 =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오류를 일으킬 수 있다. 천문연 태양우주환경연구그룹의 이재진 연구원은 “10메가
전자
볼트(MeV) 이상의 고에너지를 가진 양성자, 즉 방사선은 위성의 외벽을 뚫고 들어가 안에 있는 반도체를 파괴한다”고 설명했다.또 인공위성 주위에 플라스마 밀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인공위성이 대전되기도 ... ...
전자
책 나가신다, 종이책 물렀거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출판계의 경우 저작권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보니 베스트셀러나 스테디셀러를
전자
책으로 내놓기가 쉽지 않다”며 “현재 문화관광부를 비롯해 출판 관계자들이 열심히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콘텐츠 문제는 조금씩 해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해파리 단백질로 태양광 발전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올려놓았다. 여기에 자외선을 쬐어주자 녹색형광단백질은 광자를 흡수한 뒤
전자
를 방출했다.녹색형광단백질이 기존에 태양광 발전에서 사용하던 ‘색소증감광전지’와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 것이다. 색소증감태양전지는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값비싼 재료를 사용해 ... ...
별의 죽음을 밝혀 낸 과학자 찬드라세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맞는다. 이때는 물질의
전자
축퇴압이 중력을 버틸 수 있다. 그런데 질량이 얼마나 커야
전자
의 축퇴압이 중력을 이기지 못하게 될까. 찬드라세카가 유학을 떠나는 배 위에서 계산한 값이 바로 이것이다. 답은 태양질량의 약 1.4배로, 이 값은 찬드라세카 한계(Chandrasekhar limit)로 불린다. 별의 질량이 ... ...
유비쿼터스 시대, 우리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공업화학과(현 화학생물공학부)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삼성
전자
책임연구원 및 미국 스탠퍼드대 박사후연구원을 보내고 현재 울산과학기술대 나노생명화학공학부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