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백신의 효능이 궁금해?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발표한 효능을 확신할 수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백신을 접종한 후 효능을 계산하기
전
까지의 기간이 길어지면 감염자 수가 늘어 효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임상시험에서는 참가자의 연령대나 백신의 접종 용량 등 중요한 변수가 많아서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 ...
[기획] 세상을 구할 백신 어벤져스 후보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전
세계 제약회사와 연구팀은 mRNA 백신 말고도 다양한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 실험하고 있어. 어떤 친구들이 탄생할지 정말 기대되는걸. 하지만 이 몸처럼 실제로 태어나기 위해선 아직 거쳐야 할 관문이 많다고! 친구들아, 얼른 태어나서 나랑 같이 세상을 구하자! ...
[질문하면 답해ZOOM] 귤은 왜 누른 후에 먹으면 더 단맛이 나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에틸렌을 분비한 덕분이에요. 에틸렌이 귤의 숙성을 촉진하는 과정에서 귤 속에 있던
전
분이 단맛이 나는 당으로 바뀐 거죠. 그래서 귤을 충분히 주무르고 먹으면 실제로 단맛이 더 강해지는 거예요. 하지만 이미 다 익은 귤을 주무른다고 해서 귤이 더 달아지진 않아요. 오히려 다 익은 귤을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화석, 항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더 넓은 의미로 사용해요. 화석은 약 40억 년
전
부터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약 1만 년
전
까지인 지질시대 생물이 지층에 남긴 흔적이에요. 지질시대에 살았던 생물의 유해뿐만 아니라 발자국처럼 생물이 남긴 흔적, 생물을 구성했던 단백질 같은 유기물 등을 모두 화석으로 여기죠.화석은 지구와 ... ...
출격! 우동수비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조사하고 싶은 종을 선택하고 관찰해 15개 질문에 답해야 해요. 또 동물원을 방문하기
전
과 후에 동물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설문에 참여해야 하지요. 조사 결과는 두 수의사의 동물원 복지 연구에 사용돼요.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행복한 동물원을 만드는 게 우동수비대의 목표예요. 교육에 ... ...
[그래픽 뉴스] 코로나19 백신을 보관하는 특별한 방법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영국 정부가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긴급 사용을 승인하며 지난해 12월 8일부터 백신 접종에 나섰다. 영국이 승인한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백신은 다른 백신보다 훨씬 낮은 영하 70℃에 보관해야 한다.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구조를 가지는 단백질을 가지고 아미노산 서열을 설계하는 ‘단백질 디자인’ 연구도 이
전
보다 훨씬 활발해질 것이다. 다만 현재의 알파폴드2에도 한계는 있다. 체내에서 특정한 3D 구조를 형성하는 단백질의 구조를 학습해 예측하는 데에는 높은 성능을 보이지만, 특정한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천문학자들은 허블우주망원경이 관측한 자료로 암흑물질도 찾고 있다. 암흑물질은 우주
전
역에 분포하지만 빛을 흡수하거나 방출하지 않아 관측이 어렵다. 그래서 직접 관측하는 대신 암흑물질이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포착한다. 암흑물질의 중력은 주변 공간을 왜곡시키고, 이 때문에 근처를 ... ...
[신 기후체제] 미래에서 온 편지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기후변화의 가장 큰 피해를 입는 이는 미래를 이끌어야 할 청년들이다. 이에
전
세계 청년들이 스웨덴 청소년 기후활동가인 그레타 툰베 ... 기후변화 시위를 주도하며 거침없는 행보를 이어나가고 있다.
전
세계 환경운동의 최
전
선에 있는 청년 기후활동가들이 과학동아로 편지를 보내왔다 ... ...
2030 6G GLOBAL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앞서서 발
전
해야 한다. 실제로
전
세계 과학자와 공학자는 이미 이 어려운 과제에 대한 도
전
을 시작했다. 아직 본격적인 5G 통신조차 시작되지 않은 2021년, 먼 미래의 일처럼 보이는 6세대(6G) 이동통신을 이야기해야 하는 이유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2030 6G GLOBALPart1. 6G가 갖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