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DJ CHO의 롤링수톤] 김소희의 ‘춘향가’ 판소리 명창의 비법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반복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수입니다. 주파수의 단위는 Hz로, 1초당 1회 반복하면 1Hz입니다. 예를 들어 100Hz는 성대가 1초에 100번 진동한다는 뜻이지요. 폭포 앞 득음이 과학적인 진짜 이유보통 사람의 목소리는 낮은 주파수 영역에서 큰 진폭을 나타내고,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진폭이 급격히 ... ...
- Part 2. [변신 2단계] 더 작게! 더 간편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실제 모습으로 나타나는 유전 정보가 우성, 나타나지 않는 유전정보가 열성이 되지요.예를 들어 볼까요? 어떤 수박이 노랑 과육 유전자 하나와 빨강 과육 유전자 하나를 갖고 있다 생각해 봐요. 이때는 노랑 유전자가 항상 우성이기 때문에 수박의 과육 색깔은 노랗게 나타난답니다.▼관련기사를 ... ...
- [과학뉴스] 인공지능, 영화 속 성별 편향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성 고정관념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여성 캐릭터를 묘사해 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남성 캐릭터는 “내 말(horse)을 가져와” 같은 단정적인 문장을 주로 말한 반면, 여성 캐릭터는 “어쩌면 내가 틀렸을 수 있다”고 자신의 진술을 철회하는 발언을 많이 했다. 구체적인 대사뿐만 아니라 ... ...
- [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지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새로운 유(有)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아이폰을 융합형 창의의 대표적인 예로 들었다. 아이팟, 인터넷, 휴대전화는 이미 개발된 기술이지만, 스티브 잡스가 이들 3개 기술을 묶어 아이폰이라는 완전히 새로운 기술로 탄생시켰다는 것이다. 박 이사장은 국내 교육 환경에서 융합형 ...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품종에 따라 맛뿐만 아니라 생성되는 아밀레이스의 양이 제각각이라는 점이다. 대표적인 예가 제주산 맥주 ‘제스피’에 쓰인 백호보리다. 농촌진흥청이 2008년 육성한 백호보리는 쌉쌀한 보리맛이 진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맥아 품질 특성(효소력가, 발아율)이 뛰어나다. 또 제주 지역에 적응성이 ... ...
- [Culture]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간의 마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인간만 누려왔던 영역들을 하나둘 빼앗기게 될까. 일각에서는 AI가 발전 할수록 인류가 예상치 못할 위기에 직면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하지만 필자는 오히려 앞으로가 인간에게 희망을 주는 시대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나더라도 ‘사람과 사물 간의 상호작용(HMI·Human Machine ...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교수님은 어떻게 수학자가 되셨나요?수학동아 독자 여러분, 반가워요! 저는 병역 의무로 모 회사에서 ... 못한다는 생각은 하지 않으면 좋겠어요. 대신 좀 더 깊게, 오래 생각하면 수학을 잘하게 될 거예요. 저는 1년을 걸려 한 문제를 풀기도 했답니다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않게 빈틈없이 이어 붙여서 평면 전체를 다 덮는 것을 ‘테셀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을 바둑판처럼 이어 붙이면 평면을 빈틈없이 가득 채울 수 있지요. 벌집처럼 정육각형을 이어 붙여도 됩니다. 테셀레이션은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는데요, 보도블록과 화장실 ... ...
-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수학 교육과 관련된 체험 공간은 물론, 수학문화를 느낄 수 있는 공간도 운영할 예정이기 때문에 학생뿐만 아니라 누구라도 이용할 수 있다. 경남수학문화관 건립을 이끈 정인수 경상남도교육청 창의인재과 수학 담당 장학사는 “수학문화가 대중화되면 쉽게 바뀌기 힘든 시험 위주의 학교 교육도 ... ...
- 이 상자의 주인은 나야! 도트 앤 박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그려야 해요. 이제 레드는 블루가 그려준 선분을 이용해 잽싸게 상자를 연달아 완성할 거예요. 그런데 게임에서 이기려면 레드는 상자 고리에 있는 모든 상자를 완성하면 안돼요. 모든 상자를 완성하면 선분을 하나 더 그려야 한다는 규칙 때문에 남은 상자 고리에 반드시 선분을 그려야하고, 그러면 ... ...
이전209210211212213214215216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