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대한민국이 키우는 문제 해결사, 산업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전문연구기관을 세워 산업수학을 적극 활용하고 있어요.정부는 앞으로 기업과 대학, 연구소가 원활하게 소통하도록 도와 산업계의 문제를 수학으로 풀고, 산업수학 전문가를 길러내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수학자와 산업현장 전문가, 연구원이 항상 소통할 수 있는 모임과 산업수학 포털 ... ...
- 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수학동아 l2016년 06호
- ◀ 우리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으로 매일 기록하고 있는 모든 정보는 빠르게,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가 되고 있다. 또 그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빅데이터의 진정한 의미는 가치뉴스에서, 길거리 광고에서, 어디서나 빅데이터란 단어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름만 봐서는 큰 데이터, ... ...
- [과학뉴스] 화학반응 중간에 보는 현미경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모두 분자 수준까지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안젤 루비오 막스플랑크 물질구조역학연구소장은 “화학 합성 분야의 거대한 진전”이라면서도 “은의 표면에서 중간생성물이 안정화되는 원리에 대해서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케미스트리’ 5월 2일자에 실렸다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그는, 입을 수 있는 미생물 발전소를 개발한 셈이다.주인공은 영국 브리스톨 로봇연구소 바이오에너지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요아니스 이에로풀로스 교수다. 지구 반대편에서 도착한 그의 e메일에는 자신감이 엿보였다. “우리 센터는 지난 15년간 폐수를 처리하는 미생물연료전지를 연구해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기반으로 한 연구 중에 눈에 띄는 것은 영국 옥스퍼드대와 브라질 에반도르 샤가스 연구소 공동연구팀이 4월 15일 ‘사이언스’에 발표한 결과다(Science 15 Apr 2016: Vol. 352, Issue 6283, pp. 345-349). 이들은 브라질에서 채취한 7개의 바이러스 샘플의 시간을 거꾸로 추적해 브라질에 지카바이러스가 최초로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원자번호 113번) 발견은 중이온가속기를 이용한 대표적인 기초연구 성과다.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모리타 고스케 연구원(규슈대 교수)팀은 중이온가속기를 이용해 113번 원소를 발견했다. 그뿐만 아니다. 우리 몸을 구성하는 원소의 기원을 밝히는 연구에서부터 신소재와 신약 개발, 암 치료, ...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 또는 ‘bel-’로 번역된다. 즉 ‘p’ 소리가 ‘b’소리로 바뀌는 것이다.미국 산타페연구소 탄모이 바타챠르야 교수팀은 이렇게 하나의 소리가 다른 소리로 넘어가는 현상이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다는 데 착안했다. 연구팀은 컴퓨터를 이용해 2000년의 역사를 가진 ... ...
- INTRO 빅데이터가 미래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사람들의 마음속을 들여다봤는지, 각자의 취향에 맞춰 필요한 물건을 알아서 추천해주는 시대. 누구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는 시대. 수명까지 예측해주는 시대. 결코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미 우리 삶 속으로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 그 중심에는 빅데이터가 있다. 하지만 정 ...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빅데이터는 그 자체로는 쓸모 없다. 그 속에서 어떠한 가치를 이끌어내야 의미가 있다. 여기에 수학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웨이블릿 변환 나쁜 유전자 찾는 열쇠, 웨이블릿 변환인간의 유전자 지도는 대표적인 생체 빅데이터로 질병을 예측하는 데 쓰일 수 있다. 지난 5월 10일 광주과학기술원 ... ...
- [소프트웨어] 40년 전 최고의 인기 게임! 퐁Pong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바로 1958년 오실로스코프에 그래픽 표시 장치를 이용해 만든 ‘테니스 포 투’입니다. 연구소 방문객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만들어졌지요. 1972년에는 ‘테니스 포 투’에서 영감을 얻은 1세대 비디오 게임 ‘퐁’이 출시됐습니다. 탁구를 본떠 만든 이 게임은 그야말로 대성공을 거뒀지요. ... ...
이전209210211212213214215216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