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과학자 언니’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사업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전체 그림을 알게 됐고, 스스로 연구제안서를 쓰고 실험을 계획하면서 독립적인 연구자로 성장한다고 느꼈다”며 “박사과정 진학을 막연히 생각했는데, 이 사업에 참여한 뒤 학업을 계속해야겠다는 생각을 확고히 하게 됐다”고 말했다. 미래 과학자로서 자신이 해야 할 ... ...
- Part 3. “나는 ‘과학자 엄마’ 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과학기술인들은 타 분야 여성들과 다른 특별한 지원을 바라는 게 아니라고 했다. 어차피 실험과 논문 작성, 학회 발표 등 업무는 다른 사람이 대신 해줄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박지현 한국화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과학기술 연구자로서가 아니라 대한민국 ‘워킹맘’으로 원하는 건 ... ...
- [Future] 내가 진정한 파란 꽃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세포 내 소기관인 액포에 잘 축적될 수 있는 생체 조건을 가진 장미 40여 종을 골라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2007년 델피니딘이 전체 색소의 최대 95%를 차지하는 파란 장미를 최초로 피우는 데 성공했다(doi:10.1093/pcp/pcm131). 하지만 ‘산토리 블루 로즈 어플로즈(SUNTORY blue rose APPLAUSE)’라고 ...
- [Origin]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의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매파 혹은 비둘기파가 반복적으로 만날 때 어떤 전략이 결국 승리할지 컴퓨터로 모의실험했다. 최종 승자는 매파도 비둘기파도 아니었다. 둘을 적당히 섞은 혼합 전략인 ‘보복자’가 우승을 차지했다. 온화한 비둘기파를 만나면 자신도 비둘기처럼 순하게 대하지만, 성마른 매파를 만나면 자신도 ... ...
- [Career] 생체시계와 치매 그 관계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초파리들이 날아다니고 있다. 임정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초파리 실험을 통해 동물의 행동이 유전적으로 어떻게 조절되는지 연구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관심 있는 분야는 수면과 같은 생체시계다. “RNA가 생체시계에 영향” 최초로 밝혀과학자들은 생체시계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첨단과학으로 국가대표를 돕는다! 한국스포츠개발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친구(서울 동산초 6)는 “평소에 운동하는 것을 좋아해 참여했다”며 “운동생리학 실험실에서 연구를 위해 보관하고 있는 쥐의 신체 기관들을 보는 것이 가장 흥미로웠다”고 말했어요.한국스포츠개발원은 다가올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을 준비하고 있어요. 그리고 2020년 도쿄 하계 올림픽에서도 ... ...
- Part 2. ‘구글 루나 X프라이즈’ 올해 5개 팀 달에 도전, 민간 달 탐사 러시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날아올라 500m를 이동할 예정이다. 이는 스페이스IL과 같은 전략이다. 현재 모든 시스템 실험을 마치고 9월 중에 탐사선 조립을 완료할 계획이다. 완성한 뒤에는 발사할 로켓이 기다리고 있는 뉴질랜드로 보낸다. 로켓랩이라는 스타트업이 개발한 ‘일렉트론(Electron)’이라는 로켓에 탐사선을 실어 ... ...
- [Future] 카멜레온 같은 감성금속으로 말할 것 같으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예측할 수 있다”며 “이론적인 예측에 따라 실제로 만들어보고 성능이 유지되는지 실험한다”고 말했다. 난제는 성능 유지다. 합금 내부의 다양한 원소가 특정한 결정 구조를 그대로 유지해야 자기열량효과가 나타나는데, 온도가 변하는 과정에서 결정이 흐트러져 냉각 성능이 떨어진다. 물리적 ... ...
- [Culture] 센서티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전화 하게 한 그거 있잖아. 빛의 밝기를 감지해서 위도가 어떻게 차이 나는지 확인하는 실험이었지. 그러려면 조도를 인지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써야 한다면서. 네가 스마트폰이 아직 없다고 하자, 선생님은 너한테 따로 태블릿 PC를 빌려주면서까지 해 오라고 했는데, 결국엔 네가 수업시간에도 ... ...
- [SW 기업 탐방] 흙 없이 잘 크는 기특한 반려식물 피스찰리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모양과 크기가 안쪽 화분과 잘 들어맞는지, 포장재가 화분의 무게를 잘 견디는지를 실험해야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모니터에서만 보던 피렌체 화분의 3차원 도면을 만질 수 있는 실물로 구현해야 했다. 이들은 3D프린터로 피렌체 화분을 실물로 만들었다. 예전에는 CNC 방식으로, 사람이 직접 ... ...
이전209210211212213214215216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