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석
해설
해명
변명
번역
이야기
브리핑
d라이브러리
"
설명
"(으)로 총 10,445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기자단] 퍼즐로 로봇, 공룡까지? 규즐 체험관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표현해요. 큐즐을 이용하면 합동인도형을 여러 개 만들 수 있지요. 이효성 대리님의
설명
을 들은 친구들은 그때부터 작은 조각으로 합동인 큰 도형을 만들어 보았어요. 그리고 결국 친구들의 키만큼 커다란 로켓과 로봇을 만드는 데 성공했답니다 ... ...
[과학뉴스] 청소년 음주, 위험한 이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청소년기에 음주를 하면 성인이 돼서 알코올 중독을 비롯한 각종 정신질환을 앓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수바시 팬디 미국 일리노이대 후성유전알코올 ... 연구팀은 “청소년 음주가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
했다. doi: 10.1523/ENEURO.0401-19.201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산소가 농축되고 산성도가 높아지면서 반응 속도가 급격히 증가한 것”이라고
설명
했다.얼음이 화학반응을 매개하는 방법은 하나 더 있다. 바로 물 분자에서 양전하를 띠는 수소 원자가 얼음 결정 사이를 오가는 것이다. 강헌 서울대 화학부 교수는 “금속에서 전자가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전류가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열 플라스마 기술을 이용해 처리하고, 삼성전자는 높은 온도에서 태워 없앤다”고
설명
했다.열 플라스마를 이용하면 반도체 공정에서 생기는 불소화합물과 질소산화물(NOX)을 분해할 수 있다. 화합물에 플라스마를 가하면 플라스마의 에너지가 화합물 속 원자들의 내부 결합을 끊기 때문이다 ... ...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지렁이가 호미의 진동을 천적인 두더지의 움직임으로 착각하기 때문”이라고
설명
했다.다윈은 1881년 ‘지렁이의 활동과 분변토의 형성(The Formation of Vegetable Mould Through the Action of Worms)’이라는 책에서 지렁이가 진동을 감지한다고 썼다. 다윈은 지렁이의 청각을 실험하던 도중 지렁이가 소리에는 ...
양자우월성 배 라이벌 매치, 구글 VS IBM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양자 정보 처리 단위로, 큐비트가 많아질수록 더 많은 양의 계산을 할 수 있지. 이에 대한
설명
은 뒤에서 더 자세히 할게. 구글은 양자우월성을 보이기 위해 ‘크로스 엔트로피’라는 확률 값으로 구성된 함수를 제안했어. 시커모어는 양자 회로의 알고리듬을 이용해 200초 만에 이 확률을 빠르게 ... ...
[따끈따끈한 수학] 4색 문제의 확장판! 하트비거의 추측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그 과정에서 ‘하트비거의 추측’도 나왔죠. 이번 호에서는 하트비거의 추측을 먼저
설명
하고, 이 추측에 어떤 새로운 소식이 있는지 전하고자 합니다.4색 문제는 그래프에 관한 문제로 바꿀 수 있습니다. 그래프란 꼭짓점과 두 꼭짓점을 잇는 선으로 구성된 수학적 대상입니다. 꼭짓점의 집합 V와 ... ...
[SW 진로 체험] 수학으로 일상 속 귀중한 건강 정보 찾는다! 정화영 웰트 생체역학 엔지니어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건강 정보를 얻을 때는 ‘회귀식’을 사용해요. 회귀식은 어떤 변수가 다른 변수에 의해
설명
된다고 가정하고 두 변수의 관계를 식으로 나타낸 거예요. 예를 들어 활동량을 측정하는 데 필요한 사람의 걷는 속도를 알려면 시간과 거리를 알아야 하죠. 이때 시간은 측정하기 쉽지만, 거리는 GPS가 ... ...
[과학뉴스] 틀린 그림 찾기? 다른 유전자 찾기!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모습으로 진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물떼새의 표현형 특징을 유전적으로
설명
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했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doi: 10.3389/fgene.2019.0091 ... ...
[과학뉴스] 인간의 척추는 왜 이런 모양?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생존을 위해 몸을 활발히 움직여야 했고, 이 과정에서 복잡한 구조의 척추로 진화했다고
설명
했다. 논문 제1저자인 카트리나 존스 하버드대 유기체및진화생물학과 박사후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 몸은 어떻게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됐을까’라는 오래된 질문에 답할 수 있었다”고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