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탈모 기자가 본 탈모 치료법 허와 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컬럼비아대 피부과학과 안젤라 크리스티아노 교수는 이미 탈모계에서 유명한 인물이다.
박사
학위 때부터 탈모에 집중해 20년 이상 한 우물만 파 왔고, 2010년에는 탈모를 일으키는 유전자를 새로 발견하기도 했다. 인터넷 검색을 해 보면 알겠지만 크리스티아노 교수는 마치 가발을 쓴 것처럼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거리를 인식하지 못하고 두 블록이 마치 가까이 있는 것처럼 착각한답니다.잉글리스
박사
는 입체도형을 이루는 블록의 모든 면을 크기가 비슷한 삼각형으로 나타냈어요. 그 다음 블록을 쌓듯 삼각형을 차례차례 포개 블록의 구조를 표현했어요. 눈에 보이는 블록면을 나타내는 삼각형이 앞으로 ...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저는 여러 나라에서 연구원을 했는데, 그때 만났던 멘토들의 영향이 컸습니다.KAIST에서
박사
를 받은 뒤 미국 어바나 샴페인에 있는 일리노이 주립대에 연구원으로 갈 수 있는 기회가 생겼어요. 그 곳에서 만난 멘토가 지금 제가 연구하는 분야를 공부하고 계셨어요. 그 분께 영향을 받아 ... ...
[도전! 섭섭
박사
실험실]손 대지 말고 화 살표 방향을 바꿔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게다가 이곳은 잘 모르는 길이라 막다른 곳에서 길을 잃고 말았죠…. 하지만 똑똑한 섭섭
박사
님은 길을 잃을 것을 대비해 막다른 길에 미리 작은 방향 표지판을 꽂아두었어요. 그런데 이게 웬일! 누군가 이 화살표 방향을 반대로 바꿔 놓았어요 ... ...
[News & Issue] ‘꽉 찬’ 주기율표 새로운 화학 문 여나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라온(RAON)’ 건설을 시작했다. 2021년 완공이 목표다. 권 팀장은 “모리타
박사
가 속한 RIKEN과 건설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협력하며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며, 동시에 새로운 원소를 발견하기 위한 경쟁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한답니다! 공룡을 가축처럼 기를 수 있을까? 미국 인디애나-퍼듀대학교의 제임스팔로우
박사
가 계산한 결과, 약 40톤 무게의 대형 용각류 한 마리를 한 달간 키우기 위해서는 축구장100개에서 최대 400개 크기의 목초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지금까지 공룡이 살았다면?지금까지 가상의 공룡 ... ...
[News & Issue]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현실로?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했다. 영국의 비영리단체 ‘인간유전학경계(Human Genetics Alert)’의 회장인 데이비드 킹
박사
는 “이번 실험 허가 신청이 유전자 변형(GM) 아기의 합법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경고했다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덧붙였다. 실제로 지난 2010년 미국의 핵과학자인 스탠퍼드대 지그프리드 해커
박사
는 방북한 뒤 “영변 우라늄 농축 시설에는 지름이 짧은 원심분리기 2000여 대가 돌아가고 있었다”고 밝히기도 했다.켐프 교수는 “이제 기술적 장벽이 아닌 새로운 방법으로 핵확산을 막아야 할 때” 라며 ... ...
[Knowledge]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행동인데, 출산하지 않은 고양이도 먹이를 집으로 가져오기 때문이다. 브래드쇼
박사
는 “고양이는 잡은 먹이를 천천히 먹고 싶지만, 그것을 사냥한 장소에는 분명 다른 고양이들의 냄새가 날 것이다. 따라서 그 먹이를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주인의 집으로 가져온다”고 주장했다. 재미있는 부분은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상태가 ‘고압’과 관련있을 거라 추측했다. 김 교수는 이 주제에 매진해 5년 만에
박사
학위를 받았고, 관련된 주제로 연구를 이어갔다.고독한 항해 뒤에 남은 첫 발자국‘영하 150℃에서도 얼지 않는 물’ 역시 그런 연구의 연장선에서 만들었다. 2009년, 김 교수는 2000기압에서 물을 영하 190℃까지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