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d라이브러리
"
날
"(으)로 총 6,52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중력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중력파 직접 검출=노벨상’이라는 데 과학자들은 이견이 없다. 중력파는 더 나아가
날
것 그대로의 우주를 보여줄 것이다. 우리가 우주에서 보는 빛은 빅뱅 후 약 38만 년(재결합시기)에 만들어졌다. 이보다 앞선 초기 우주의 모습은 광학망원경이나 전파망원경으로는 절대로 볼 수 없다. 중력파는 ... ...
Epilogue. 태양광 유인항공기 3월 세계일주 도전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김승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기반기술실장은 “가장 중요한 기술적 과제는 초경량화”라고 말했다.“상용 태양전지는 소재 한계 효율인 23~25% ... 태울 수 있는 태양광 여객기가 개발되는
날
이 올 겁니다. 환경을 해치지 않으면서 하늘을
날
려는 인간의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될 테니까요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두렵지 않다면 거짓말일 겁니다. 저희(선발대)가 시에라리온 치료소를 방문한
날
에도 치료소에 근무하던 의사 2명이 바이러스에 감염됐으니까요.” 선발대를 이끌고 시에라리온에 직접 방문했던 정진규 심의관은 당시 느낌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었다. “개인 보호복을 입고 벗는 연습을 하는데 ... ...
[과학뉴스] 허니버터칩 왜 맛있는 거야?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반 스푼 넣자 맛이 확 살아났다. 지나치게 많이 넣은 MSG와 설탕 맛까지 되살아나 그
날
의 김치찌개는 먹을 수 없게 됐지만 ‘소금을 넣으면 다른 맛이 살아난다’는 교훈은 확실하게 얻었다. 이것이 바로 허니버터칩의 비법이다.기자의 경험대로 적당한 짠맛은 음식 전체의 풍미를 돋운다. 특히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소재 개발에 도움을 준다. 전력소모가 적으면서 햇빛에도 선명한 디스플레이도 곧 만
날
수 있을 예정이다. 그렇다면 빛 기술이 디스플레이 분야에만 영향을 미친 걸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빛 기술은 오래 전부터 공학 분야와 의료 분야에서도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요.예를 들어 요즘 정보 ... ...
[Life & Tech] 사랑은 얼음스케이트를 타고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연결돼 있어서 단단하게 얼지 못하고 미세한 물방울들이 생긴다는 것이지요. 스케이트
날
로 압력이나 마찰을 가하지 않아도 얼음 표면은 늘 미끄럽다는 얘기입니다. 사랑이 타오르는 온도, 영하 17℃이번엔 소녀가 한마디 거듭니다. “야! 그럼 너, 그거 알아? 지금 우리가 서 있는 빙판 온도가 영하 1 ... ...
굶주린 늑대 ‘다자바 머그리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일일 양몰이 개 체험을 하기로 했다.“너희 양들을 모두 잡아먹겠다!”가는
날
이 장
날
이라고, 썰렁홈즈가 양치기를 시작하자마자 굶주린 늑대 ‘다자바 머그리오’가 나타나 양들을 모두 빼앗길 위험에 처했다.궁지에 몰린 썰렁홈즈는 늑대에게 한 가지 제안을 했다.“잠깐! 양들을 그냥 잡아먹으면 ... ...
PART1. 일반상대성이론 낳은 ‘기적의 10년’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이론물리학’따로 실험실이 없었던 아인슈타인은 특허청에서 일을 하며 시간이
날
때마다 틈틈이 머릿속으로 사고실험(그는 독일어로 ‘게당켄 엑스페리멘트’라고 불렀다)을 했다. 그의 책상 둘째 서랍에는 늘 메모와 계산 기록이 빼곡하게 차 있었다.1907년 ‘중력=가속도’ 발견아인슈타인은 1 ... ...
Part 1. 차세대 비행기 설계도 5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마찰력이 증가하는 ‘유도항력’이 생기는데, 합체하면 안쪽에 있는 비행기
날
개에서는 더이상 유도항력이 발생하지 않지요. 문제는 ‘합체’입니다. 공중에서 움직이는 핸드폰에 충전기 커넥터를 꽂는다고 상상해보세요. 대기 마찰이 없는 우주에서 우주선을 도킹시키는 게 더 수월할 겁니다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개발했죠. 아주 멋진 일이었습니다. 입자물리학처럼 경쟁이 치열한 곳에서는 일어
날
수 없는 일이죠. 당신도 입자물리학을 연구한다면서요?”┗네. 말씀대로 우리 분야에서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기만 하면 모든 사람들이 달려들죠. 저도 그런 적이 여러 번 있습니다(웃음). 1970년대에는 블랙홀을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