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몽상
드림
희망
포부
소원
소망
이상
d라이브러리
"
꿈
"(으)로 총 2,986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과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좌절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와세다대에 입학해 가토 교수의 연구실을 찾아간 후 그는
꿈
을 다시 찾을 수 있었다. 로봇이 어엿한 대학의 연구분야로 자리잡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기 때문이다.다카니시 교수는 지금까지 2족 보행 로봇 ‘와비안’(WABIAN), 플루트 연주로봇 ‘WF-4’, 다양한 표정의 ... ...
로켓 원리 밝힌 치올코프스키 논문 1백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죽음, 독학, 아들의 자살(1902년), 열악한 경제형편 등 혹독한 환경 속에서 치올코프스키가
꿈
꿨던 우주비행은 그의 탄생 1백주년(1957년 옛소련의 스푸트니크)부터 시작됐다. 그리고 다시 그의 놀라운 논문이 발표된지 1백주년이 되는 2003년. 그의 구상 중 많은 것이 실현됐지만 아직 많은 것은 성취되지 ... ...
우주비행사 되는데 자연과학자 유리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실험장비가 국제우주정거장에 활용될 수는 있을 것이다.그렇다고 한국인 우주비행사의
꿈
을 버릴 필요는 없다. 항공우주연구원은 한국이 국제 우주정거장의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문제에 대해 장기적으로 NASA와 협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 우주비행사는 10년 후면 탄생할 것으로 ... ...
1 수소 원자핵을 빛의 속도로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10}^{16}$eV)의 가속기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속기는 실제 제작되지 않았지만, 언젠가 이
꿈
이 실현되면 아마 지구상의 마지막 가속기가 될 것이다.같은 전기를 띤 양성자들이 같은 길을 갈 때는 서로 밀치는 쿨롱 힘이 생겨 가속되는 양성자들끼리 서로 멀어지려고 한다. 따라서 많은 양성자를 ... ...
검은 고양이는 행운의 상징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가운데 이 마지막 대목은 언제 봐도 소름이 끼칩니다. 시체 위에 앉아있는 검은 고양이.
꿈
에 나올까 무서운 모습이죠. 이처럼 검은 고양이는 늘 악운이나 재앙의 상징으로 표현되곤 했습니다.그렇지만 당사자인 고양이로선 꽤나 억울할 것 같습니다. 털 색깔이야 부모에게서 물려 받은 것인데 ... ...
휴대폰으로 TV 보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권 선임연구원은 “1년 전만 해도 튜너가 이렇게 작아지리라는
꿈
도 꾸지 못했다”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갖고 힘을 모으면 불가능이 없다는 기술의 진리를 새삼 깨달았다”고 말했다.모바일 튜너의 소형화는 이미 종착역에 도달했다고 평가된다. 더이상 크기를 줄이는 일에 ... ...
물리학의 눈으로 생명을 바라보는 과학자 장회익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나는 다시 태어난다해도 물리학을 공부할 것이다. 설령 시인이 된다 하더라도 물리학을 배우고 나서다.”장회익 교수는 물리학에 대한 깊은 애정을 이렇게 표현했다. 하지만 ... 생각하는 능력을 길러 스스로 길을 찾아가게 해주려고 한다. 그는 녹색대학에서 이
꿈
을 펼치고자 한다 ... ...
차세대 정밀유도폭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구분된다 렘수면은 잠자는 동안 90분-1백분 간격으로 되풀이되며, 이 기간에 대부분의
꿈
을 꾼다 렘수면 동안 뇌파는 평소와 다른 저진폭의 톱니모양을 나타낸다엑시머레이저는 아르곤 플로라이드의 원자외선 스펙트럼에서 나오는 1백93nm(1nm=${10}^{-9}$m)의 파장을 가진 방출광이다 이 물질 원자의 ... ...
2 노벨상으로 알아보는 이중나선 그 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생명공학의 폭발적인 발전에 기폭제가 됐다. 인간게놈프로젝트 역시 PCR이 없었더라면
꿈
도 꾸지 못할 계획이었다.지난 2002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선충의 유전체 연구를 통해 세포의 늙음과 죽음을 통제하는 유전자의 비밀을 밝혀낸 브레너와 호비츠, 설스톤에게 돌아갔다. 특히 브레너는 왓슨과 ... ...
씨없는 수박의 개발자는 우장춘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뜨거운 축하를 보냈다. 이 기사는 물론 잘못된 보도였다. 뒤이어 그는 한국인으로서
꿈
도 꾸기 힘든 제국대의 교수 자리에까지 오르는 영예를 누렸다. 때문에 이태규는 좀더 유명해졌고 시간이 흐르면서 한국인 최초의 이학박사라는 인식도 더욱 굳어졌다.그러나 이학박사 학위를 처음 받은 사람은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