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고
고찰
심사숙려
심사숙고
참작
숙려
묵상
d라이브러리
"
고려
"(으)로 총 3,94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쇳물에는 이런 그의 열정과 고집이 녹아있다.포스텍과 KAIST의 해킹전 문제출제자이희조
고려
대 컴퓨터통신공학부 교수이 교수는 포스텍 재학 시절부터 이름 날리던 ‘해커 잡는 해커’였다. 포스텍은 뛰어난 재능을 지녔던 이 교수에게 날개를 달아줬다. 당시 구경조차 힘들었던 워크스테이션을 ... ...
2. 세포의 달콤살벌한 하루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충격은 뇌세포에게 일차적인 스트레스다.세포는 스트레스를 받으면 어떻게 반응할까.
고려
대 생명과학부 최의주 교수는 “세포의 방어기작이 먼저 작동한다”고 설명했다. 일례로 DNA의 일부분을 잘라 유전정보를 변형시키는 물질이 세포에 침투했다고 하자. 이 물질이 DNA를 자르는 순간 세포는 ... ...
살맛 나는 동.물.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줄었다.서울대공원과 자매결연을 맺은 대만 타이베이 동물원은 동물의 행동풍부화를
고려
해 설계했다. 먹이를 여기저기 숨겨놓을 수 있도록 인공 나무의 틈에 먹이통을 마련하고, 도구를 이용해 먹이를 먹도록 개미집을 형상화한 구조물도 설치했다. 큰 나무를 닮은 인공 구조물 안에는 추운 ... ...
처녀 상어, 새끼 낳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지구의 자전, 복사 위도에 따라 대기환류가 달라진다바다와 육지의 분포만을
고려
한 대기환류는 1차환류라고 하며 대기환류 중에서 이동성 저기압이나 고기압의 규모에 해당되는 대기운동을 2차환류라 하고 이들 환류에 중합되는 소규모의 대기운동을 3차환류라고 한다 대기의 압력으로 움직이는 ... ...
컴퓨터로 공기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밝히기도 했다. 그는 “전산유체역학 같은 첨단 기술이 없던 시절에 주위 자연환경을
고려
하고 건물을 적절히 배치하며 자연 환기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한 선조들의 지혜가 경이로울 따름”이라고 말했다. 지름 1.5mm 물줄기 다스린다“변기 물을 한번 내릴 때마다 보통 6만~50만 개의 세균이나 ... ...
매클롱 강과 인간의 공생 전략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가졌다. 환경전문가 입장에서 매클롱 강의 자연생태와 사람들의 물 소비 등 모든 것을
고려
해 종합적인 대책을 내놓는 것이다. 대책에는 현재 세대와 미래 세대의 필요를 모두 만족시키는 ‘지속가능한개발’ 개념이 포함돼야 했다. 서로 다른 나라 학생들로 구성되도록 5개의 발표그룹으로 나눴다 ... ...
전기도 무선으로 전송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 풍속 · 적설 · 증발량, 기타 여러 가지 기상요소로 표현되지만 기상의 영향을
고려
할 때에는 이들 각종 기상요소가 제각기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서로 관련되어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종합치를 구하여 판별할 필요가 있다 기상현상에 따라 비교적 심하지 않은 정도의 피해가 예상될 때 주의를 ... ...
PART2 꼭꼭 숨어있는 빛까지 잡아낸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편이다. 현재 태양광시장을 주름 잡고 있는 1세대 태양전지의 효율이 10% 안팎인 점을
고려
할 때 2세대 태양전지도 그 이상의 효율을 보여야 경쟁력이 있다. 하지만 아직 연료감응형태양전지와 고분자태양전지 모두 아직 10%를 넘지 못하고 있다.2세대 태양전지의 효율을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 비밀은 ... ...
우주기네스북 한판 대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연구팀이 132억살 먹은 별 ‘HE 1523-0901’을 발견했다. 우주 나이가 137억살이란 사실을
고려
한다면 HE 1523-0901은 빅뱅이 일어난지 5억년 뒤에 태어난, 별들의 ‘파파 할아버지’인 셈이다. 게다가 이 별은 우주 저 멀리 있는 게 아니라 흥미롭게도 바로 우리은하에 있다.어떻게 나이를 쟀을까. 연구팀은 ... ...
투명인간 가능하려면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올해는 과학소설(SF)의 창시자로 불리는 영국의 허버트 웰스가 소설‘투명인간’을 발표한지 꼭 110년이 되는 해다. 소설에서 그리핀이라는 과학자는 빛의 성질을 연구하다가 몸속 붉은 피와 검은 머리카락의 굴절률을 공기의 굴절률과 똑같이 만드는 실험에 성공해 스스로 투명인간이 된다.투명인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