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성"(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5색 아빠,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꼭 생물학적 아빠가 좋은 것은 또 아니란다. 사회적 아빠도 좋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충분하다. 킹 교수도 함께 살지 않고 관계도 소원한 친아빠보다는 함께 사는 양아빠의 영향이 더 크다고 말하고 있다. 양아빠와 친아빠 중 누가 좋고 나쁘고를 따지자는 건 아니다. 시간의 길이나 생물학적 ... ...
- 지진 예측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지진 발생 2년 전인 2008년에 이미 국제 학술지를 통해 이 지역에 규모 7.2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을 경고했다. 이들은 GPS관측을 통해 캐리비안판과 북미판의 충돌 지역에 위치한 엔리케 단층 일대에 발생하는 변형량을 계산하고, 판의 움직임을 고려한 변화 정도 차이를 예상해 이 지역에 누적된 ... ...
- 은하수는 쇠똥구리의 네비게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나침반이 없던 시절, 별은 방향을 알려 주는 유일한 길잡이였어요. 지금도 밤하늘의 북극성만 찾으면 바로 방향을 알 수 있지요. 그런데 곤충도 별을 길잡이로 삼 ... 별이 가득 모인 빛무리라는 이야기예요. 연구팀은 다른 곤충도 같은 방식으로 길을 찾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 ...
- 늑대와 개의 차이는 OOO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수 있지요. 야생 개가 가축이 된 후 사람과 함께 곡물을 먹으면 서 지금처럼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답니다.재미있는 사실은 농사를 시작한 1만 년 전부터 인류도 녹말을 소화하기 쉽도록 진화했다는 거예요. 식생활의 변화를 통해 인류와 개가 나란히 바뀌는 ‘평행진화’가 일어났다는 이야기지요. ... ...
- PART 1. 검색은 김수현(작가, 탤런트)을 구분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주소가 똑같은데 ‘~.com/en~’ 또는 ‘~.com/ko~’인 두 문서가 확률적으로 같은 내용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그밖에 단어나 심볼, 날짜나 숫자, 유명인 이름(오바마, Obama) 등이 각 문서의 비슷한 위치에 존재한다면 같은 내용의 문서일 것이라는 추측으로 이뤄지지만 대단히 힘든 ... ...
-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않는 지역이 오히려 드물 정도다. 이는 전세계적인 인류의 이동을 촌충을 통해 밝힐 가능성을 보여준다. 수백만 년 전, 인류와 사자가 사바나에서 함께 살던 아프리카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을까. 사자와 사람은 정말 같은 먹거리를 먹었을까. 수만 년 전, 전 지구로 퍼져나가는 인류는 기생충까지 ... ...
- 무한 원숭이 정리 원숭이가 셰익스피어 희곡을 쓴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알파벳만 치고 우리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으면, 자판을 한 번 칠 때마다 26개의 가능성이 생긴다. 알파벳의 개수가 총 26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숭이가 알파벳 네 글자를 입력하는 모든 경우의 수는 26×26×26×26=456,976개이고, love를 입력할 확률은 1/456976이다. 즉 ‘love’를 입력할 때까지 ... ...
- PART 3. 구글의 눈으로 보는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관한 정보를 제공했다.구글은 인공지능으로 사용자와 대화를 나누는 방식으로 만들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국내 유일 구글 무인자동차 탑승자 이상묵 교수 인터뷰“도로에서 움직이는 것과 움직이지 않는 것을 실시간으로 구별하는 기술, 구글 무인 자동차를 타보고 가장 인상 깊게 느낀 ... ...
- PART 3. 진실 혹은 거짓, 진짜 연구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취하는 것을 막아주지. 실제로 알코올성 간질환에 굼벵이가 효능이 있어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이기도 했지.그러나 굼벵이를 이용하는 데 매우 중요한 조건이 있어. 굼벵이는 생약으로 분류가 되지만 식품이 아니기 때문에 한의사의 처방 없이는 쓸 수 없는 약재야. 굼벵이의 어떤 물질이 간 ... ...
- PART 4. 구글 in Science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그 결과 현재 위궤양 치료제로 쓰는 ‘씨메티딘’이라는 약물이 폐암을 억제할 가능성이 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동물 실험을 했더니 실제 효과가 있었습니다. 지금까지는 의사가 10~15년간 약물을 투여하면서 효과를 확인해야 했습니다.앞으로 구글이 어떻게 영향을 미칠까요.사실 의학과 ... ...
이전209210211212213214215216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