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뉴스
"
세기
"(으)로 총 2,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동물실험이라는 한계를 인정하면서도 이를 바탕으로 흥미로운 가설을 제안했다. 즉 20
세기
후반기 들어 비만과 염증성 장질환을 호소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가파르게 상승한 배후에는 가공식품이 식단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급격히 늘어난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는 것. 즉 가공식품 속의 ... ...
‘제물포(쟤 땜에 물리 포기)’ ‘수포자(수학포기자)’라면 여기 한 번…
2015.03.08
대체해야 할 부정적인 이미지로 낙인찍혔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탄소의
세기
’인 21
세기
에 살아가는 독자들에게 탄소를 어떻게 바라봐야 되는지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제공한다. ... ...
‘두 얼굴’의 빛, 세계 최초로 포착
2015.03.03
빛이 파동과 입자의 성질을 동시에 갖고 있다는 점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파동성이란 19
세기
에 확인된 빛의 특징으로 물결처럼 진동하면서 장애물을 만나면 굴절되는 등의 특징을 말한다. 그런데 20
세기
들어 아인슈타인이 자외선을 금속에 쪼이면 전자가 튀어나오는 ‘광전효과’를 발견하면서 ... ...
만능 잡화상 고양이 ‘도라에몽’이 돌아왔다
2015.03.01
가까운 현실이다. 20
세기
후반인 1970년대와 지금의 사회를 비교한다면, 도라에몽이 온 22
세기
의 미래엔 정말로 이런 도구들이 현실로 다가오지 말라는 생각까지 든다. 머리에 붙이는 ‘대나무 헬리콥터’. 어디로든 날아갈 수 있다. -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제공 ●과학자의 꿈을 키워주는 ... ...
우리 할머니는 아티스트
2015.02.25
‘노년’ 현대 사회에 노년이 증가한 것은 의학의 발달로 죽지 않게 돼서입니다. 20
세기
초만 해도 출산률과 함께 사망률이 높았기 때문에 평균수명도 짧았습니다. 특히 유아 사망률이 높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임신을 해도 섣불리 축하를 하지 않고, 태어나도 100일이 지나서야 잔치를 ... ...
“우주의 지름길 웜홀, 언젠가 인류가 만들 날 올겁니다”
동아일보
l
2015.02.25
인류보다 기술적으로 진보된 문명이 있을 겁니다. 다만 행성 간 거리가 너무 멀어 향후 수
세기
동안 인류가 외계 문명을 만나는 상황은 일어날 것 같지 않아요.” 과학소설을 읽으며 과학자의 꿈을 키웠다는 그는 한국 학생들에게 영감을 줄 과학소설로 로버트 A 하인라인의 ‘낯선 땅 이방인(Stranger ... ...
숙녀의 변비약은 어떻게 탄생했나
2015.02.22
설사약으로 쓰이게 된 과정이 흥미롭다. 지독한 병충해로 포도 농사를 망치는 일이 20
세기
초 헝가리에서 일어났다. 헝가리인들은 국내 포도주 수요를 맞추기 위해 포도주를 국외에서 수입했는데, 외산 포도주는 국내산보다 훨씬 색깔이 옅었다. 외산 포도주의 색깔을 더 진하게 할 요량으로 ... ...
호주 바다에 나타난 ‘마귀할멈’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2.20
긴 코는 마귀상어가 살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기관이에요. 자기장의 방향과
세기
를 감지할 수 있는 ‘로렌치니 기관’이거든요. 최근에는 마귀상어가 이 코로 미세한 전류를 감지한다는 사실도 밝혀졌지요. 그래서 시각과 후각이 퇴화한 상태에서도 마귀상어는 어두컴컴한 해저에서 먹이가 어디쯤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7년간 머물며 정신적으로 성숙한 인간이 되지만 결국 죽음을 맞는다. 손택은 20
세기
전반까지 결핵이 은유로서의 질병을 대표한 이유를 다각적으로 제시한다. 즉 전염병으로 환자를 고갈시켜 많은 경우 죽음으로 몰아가는 결핵은 당시로서는 마땅한 치료법이 없었기 때문에 두려움의 대상이었지만 ... ...
양자를 훔친 악동들
2015.02.15
사랑에 실패하기도, 정치에 휘말려 비극적인 삶을 살기도 했다. 양자역학이 탄생하던 20
세기
초는 두 번의 세계대전이 유럽을 휩쓸던 시기였다. 양자역학의 주인공들 역시 역사의 흐름 속에서 울고 웃으며 살았던 인간들이다. 1925년 6월 7일 베르너 하이젠베르크(1932년 노벨물리학상)는 꽃가루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