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온가족이 즐거운 수학체험관 궁리마루수학동아 l2013년 04호
- 교육학과 과학 교육을 받은 학부모들로, 궁리마루에서 학생들의 체험을 돕고 있다. 특히 초·중·고 단위로 최대 20명씩 학생들을 안내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수준에 맞춰 설명할 수 있고, 자칫 그냥 지나칠 수 있는 전시물에 담긴 수학과 과학 원리까지 꼼꼼히 챙겨 줄 수 있다.일상에서 발견하는 ... ...
- [생활] 수학탐정 M 로슬린 성당의 비밀을 밝혀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한 곳에서 생긴 진동이 차례로 퍼져나가는 현상을 말한다. 또한 파동이 퍼져나갈 때, 1초 동안 진동하는 횟수를 ‘주파수’라고 한다. 클라드니는 ‘소리가 만드는 진동’에 주목하고, 여러 가지 종류의 소리를 조사했다. 그 결과 그는 1787년에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진동하는 소리를 눈으로 확인할 ... ...
- 펭귄부부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재능이나 능력, 사회성이 똑같을 수는 없으니까요.한편에선 국립국어원이 지난 3월 초 신조어를 정리해 발표했습니다. 이 중 눈에 띄는 몇가지가 있었습니다. 펭귄부부(가족의 생활 방식을 모두 어린 자녀에게 맞추는 부부), 등골 백팩(부모에게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될 만큼 비싼 책가방) 등이 ... ...
- 변 기자의 우주에서 가장 추운 취재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가만히 놔두면 벽을 타고 위로 흐르거나 사방으로 흩어지는 마술 같은 일이 벌어진다. 초전도체는 극저온에서 전기 저항이 사라져 에너지 손실 없이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이다. 자기공명장치(MRI), 자기부상열차, 슈퍼컴퓨터, 핵융합발전에 활용할 수 있다.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가 있다?지난 ...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이 점이나 기하학적 형태를 ‘끌개’라고 부른다. 위상공간에서 물체의 운동 상태는 초기값을 다르게 선택해도 결국 끌개로 다가간다. 따라서 끌개의 형태가 어떤 종류인지 알면, 그 운동 상태가 어떻게 변할지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예측할 수 있다.그런데 1963년 미국의 기상학자 에드워드 로렌츠는 ... ...
- PART 4. 구글 in Science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등 다양한 도구로, 심지어 화성에까지’ 통하기를 꿈꾼다. 수학과 기초과학에 대한 광적인 존중, 그리고 끝없는 혁신과 연구 열정이 가져온 결과다.2013년 현재, ‘구글 잇!’이 아닌 ‘구글 사이언스’가 꿈틀대고 있다.그 끝은 과연 어디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검색은 김수현(작가, ... ...
- PART 2. 천재들의 엉뚱한 행동, 세상을 바꾼 괴짜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대기만 하면 망가뜨렸기 때문에 이런 이야기가 전해지는 것이 아닐까. 양자역학의 기초를 만든 위대한 과학자지만 일상에서는 물건이나 잘 망가뜨리는 어설픈 사람이라니, 귀엽지 않아?자신의 연구 분야를 아예 생활 한 가운데로 끌고들어온 괴짜 과학자도 있어. 절대0도(0K)에 가까워질수록 ... ...
- PART 3. 중력이 수상하다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문제는 그 수치가 일반상대성이론으로 예측한 가속도와 맞지 않았다는 것이다.1980년대 초부터 대략 20여 년간 관측한 결과 2000년대 중반에는 파이어니어의 이상 현상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학계의 관심이 집중됐다. 태양계 밖에서는 시공간이 다르게 휠 수도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었다. ... ...
- 한국형 발사체와 은하 3호는 이란성 쌍둥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방식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추력 손실이 전혀 없다. 우리는 이미 2002년에 발사한 최초의 액체 로켓인 KSR-3에서 이 기술을 훌륭하게 구현했다. 현대의 거의 모든 대형 액체 로켓은 김발 방식으로 추력방향을 제어하고 있다.로켓의 추진제도 남북은 완전히 다른 길을 가고 있다. 북한은 스커드 ... ...
- PART 2. 데카르트의 악몽, 아인슈타인의 해몽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정통데카르트주의자들이 제기했던 문제에 대해 납득할 만한 답이 나온 것은 20세기 초였다. 그 답변은 헝가리의 지구물리학자 외트뵈슈 남작과 아인슈타인이 내놓았다.외트뵈슈는 지구가 자전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했다. 지표면의 물체는 지구의 자전 운동에 따라 강제로 회전운동하니까, 물체의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