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이것들이 점점 커가는 것이 발생이라고 생각했다. 심지어 정자 속에 아주 작은 모양을 한
인간
이 있고 그것이 점점 커져서 아이가 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반대로 후성발생을 믿은 사람들은 세포 안의 ‘화학 작용’이 발생 방향을 지시한다고 추측했다.두 학설의 대립은 19세기 후반에 끝이 났다.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완성한 가장 강력한 후보는 비암호화 RNA다. 비암호화 RNA는 단백질을 만들지 않는 RNA다.
인간
게놈프로젝트 결과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는 전체 DNA의 1%에 불과한 2만 개 정도였다. 나머지 99%의 DNA는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는 ‘쓰레기 DNA’다. 하지만 2012년 9월 단백질을 못 만드는 쓰레기 DNA라고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노 : 자손에게 후성유전적 특징을 넘기기 위해서는 세포의 ‘리셋’을 피해야 한다.
인간
을 비롯한 모든 고등동물의 수정란은 부모로부터 받은 후성유전적 표식을 두 번에 걸쳐 지운다. 이를 ‘리프로그래밍’이라고 한다. 깐깐한 이 과정을 피하는 것은 단순 기억보다 훨씬 어렵다.이 : 모든 ... ...
'기쁨'과 '슬픔'은 정말 뇌 안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시스템’도 있다. 정 교수는 “영화 속 설정은 감성 시스템에만 좌우되는 감정적인
인간
으로 우리를 묘사하고 있다”고 말했다.감정이 모든 의사결정을 하진 않지만, 그래도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건 사실이다. 세계적인 심리학자 폴 에크만은 뉴욕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 “감정은 현재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뒤로 접을 수 있는 특수한 턱관절이다. 이빨이 아래턱과 위턱에 1열씩 솟아있는
인간
과 달리, 모사사우루스는 목구멍이 시작하는 지점 바로 앞에 갈고리 같은 이빨이 2열로 발달해 있다. 이런 구조는 모사사우루스가 삼키고 있는 먹잇감이 몸을 빼 도망치지 못하게끔 막아줬다. 뒤로 접히는 턱관절은 ... ...
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모두 DNA에 기록돼 사용법을 바꾼다. 세대를 넘어 자식에게 유전되기도 한다. 어떻게 보면
인간
이 DNA를 스스로 조정할 수 있는 자유의지를 가진 셈이다. DNA로부터 탈출한 당신에게 후성유전학이 묻는다. 어떻게 살 것인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유도된 특정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다분화능(pluripotency)만을 가지고 있다. 그나마
인간
세포에서 전형성능을 가졌다고 알려진 것은 현재까지 수정란이 유일하다.미국의 식물학자 폴셰 스쿠그와 카를로스 밀러는 1957년 식물의 생장호르몬인 옥신과 시토키닌을 배합해 세포의 전형성능을 최초로 ... ...
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대한 그의 대답은 간단했다. “음식을 만드는 것, 음식을 먹는 것에 흥미를 느끼는 것은
인간
의 본능이죠. 쿡방은 이런 욕구를 최대한으로 끌어올립니다.”그가 말하는 쿡방의 첫 번째 매력은 ‘여럿이 먹는 재미’였다. “축구 경기를 혼자 보면 재미가 있나요? 음식을 혼자 먹을 때와 여럿이 먹을 ... ...
수영장 냄새, 알고 보니 소변 냄새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염소와 섞인 화학물질의 냄새라는 충격적인 사실을 밝혔다. CDC에 따르면 염소는
인간
의 소변에 포함된 질소 화합물과 결합해 눈을 충혈시키는 화학물질을 만들어낸다. 이 화학물질을 없애기 위해 더 많은 양의 염소를 살포해야하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 CDC는 “실내수영장의 경우 유해한 ... ...
달콤한 소주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강 박사는 “짜고 매운 보쌈 김치에 설탕을 넣어 달게 만드는 것도 같은 이치”라며 “
인간
의 혀는 잘 속는 편이라 같은 소주라도 단맛을 첨가하면 마시기 편하게 느낀다”고 말했다. 시판 소주의 단맛은 소주를 보다 잘 삼키게끔 제조사에서 첨가하는 감미료 맛이다. 인공적인 과일 향은 알코올을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