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수청이와 제비의 계절이 돌아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현장교육은 4월 28일, 부산에서 열린 수원청개구리 현장교육으로 시작됐어요. 이후 전국 각지에서 수원청개구리를 비롯해 제비, 화분매개자, 조류 등 각종 생물을 주제로 5월 중에만 약 15차례의 현장교육이 열렸지요. 현장교육은 ‘지구사랑탐사대의 꽃’이라고 불려요. 대원들이 개별 탐사를 ... ...
- Part 2. 초신성, 폭발 순간을 관측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포함되면 Ⅱ형, 그렇지 않으면 Ⅰ형 초신성으로 분류된다. 처음에 수소가 관측되다가 이후 헬륨이 나타나는 초신성을 Ⅱb형 초신성이라고 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아마추어 과학자들의 대활약!Part 1. 인공위성 IMAGE를 찾다!Part 2. 초신성, 폭발 순간을 관측하다 ... ...
- 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14살이었을 때 아버지가 암으로 돌아가셨는데, 오로라를 보면 아버지가 생각나요. 그 이후부터 계속 오로라를 관찰하게 됐답니다.Q어떻게 스티브를 발견하게 됐나요?2012년부터 ‘앨버타 오로라 추적자들’ 페이스북 그룹에 가입하면서 오로라를 관측했어요. 그러다 보랏빛 띠 모양의 이상한 현상, 즉 ... ...
- [실전! 반려동물] 토끼가 사료를 안 먹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외로워!땅에 굴을 파고 살던 굴토끼 종은 1000여 년 전부터 사람과 함께 살기 시작했어요. 이후 사람과 살면서 약 80가지의 품종으로 분화했지요. 이처럼 사람과 함께 사는 토끼 종을 통 틀어 ‘집토끼’라고 해요. 한편, 야생에서 사는 토끼는 ‘산토끼’라고 부른답니다. 야생에서 사는 산토끼는 ... ...
- [TECH]大화면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고려하면 큰 변화다. 2007년 애플이 ‘아이폰’을 처음 공개했을 때 화면은 3.5인치였다. 이후 스마트폰 화면은 조금씩 커져 2017년에는 스마트폰 화면의 평균 크기가 5.3인치까지 늘었다(시장조사기관 IHS마킷의 2017년 5월 자료). 10년간 1.8인치, 매년 평균 약 0.2인치씩 꾸준히 증가한 셈이다. 올해 ... ...
- 물리학상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못했다. 광섬유가 중간에 손상을 입어서 빠져나오지 못했던 것이다. 무루 교수팀은 이후 수차례 실험 끝에 광섬유 길이를 1.4km로 줄이는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CPA를 실험적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을 뿐만 아니라, 스트리클런드 연구원의 생애 첫 논문이 빛을 보게 됐다. 최근에는 ...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1km를 평균 7분 37초에 끊으며 10km를 1시간 17분 12초의 기록으로 완주하는 데 성공했다.완주 이후 가장 걱정했던 통증 또한 안정화와 테이핑 덕분인지 견딜 만했다. 특히 1시간을 넘게 뛰어도 발이 심하게 아프지 않다는 사실이 고무적이었다. 평소였다면 몇 분만 뛰어도 발에 불이 난 것처럼 ...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류구 고도 20km 지점에 무사히 도착할 수 있었습니다.‘호핑’ 기법으로 소행성 돌아다녀이후 하야부사2는 수십~수백m 상공에서 공전하며 류구를 관측하고 많은 자료를 보내줬습니다. 그리고 지난 9월 21일, 세계 최초로 ‘미네르바(MINERVA)-Ⅱ1’이라는 소형 탐사 로버를 소행성 표면에 착륙시키는 데 ... ...
-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한국 경제는 불황? 호황?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유가 상승에 따른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들린다. 그러나 2001년 이후 한국 경제 성장률과 WTI의 관계를 살펴보면 오히려 유가가 상승할 때 우리 경제는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했다. 유일한 예외가 2014~2015년으로, 국제유가가 폭락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는 안정적인 성장을 ... ...
- 장교식 건국대 입학처장 - “기본기에 충실해야 유리”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일제강점기였던 1931년 유석창 박사가 개원한 민중병원과, 해방 이후 1946년 개교한 조선정치학관을 시작 으로 하는 역사와 전통이 있는 대학이다. 건국대는 올해 영국 타임스가 발표한 ‘2018 THE 아시아·태평양 대학 평가’에서 95위로, 100위 안에 드는 쾌거를 거뒀다, 국내 대학 중에 서는 14위를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