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에 묻는다] 200살을 맞은 사나이 vs. 블레이드 러너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비교해 보겠습니다. 중국어 방은 인간과 똑같아 보이는 안드로이드 몸이 됩니다. 그 안에 있는 사람과 지침은 소프트웨어가 되겠지요. 중국어 질문과 답변은 각각 외부의 자극과 그에 대한 반응입니다. 같은 논리로 보면, 겉모습이나 행동이 아무리 인간과 똑같다고 해도 인공지능 로봇이 인간처럼 ... ...
- 신비한 양자컴퓨터, 영~롱한 샹들리에의 정체는?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음성을 인식해 명령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비서’가 들어있지. 그런데 실제 인공지능이 안에 들어있는 건 아냐. 단지 사용자의 말을 스마트폰이 인식한 뒤 신호를 빠르게 서버에 전달하고, 서버에 있는 인공지능이 신호를 해석해 다시 빠르게 스마트폰에 보내는 거지. 그래서 인터넷 연결이 끊기면 ... ...
- 깨어나라 용사여!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함수로 이뤄진 문제를 현실로 변환할 수 있어야 해요. 추상적 공간을 다루는 건 오랫동안 수학자들이 연구해온 일이고요. 그래서 서울대 수학과 출신인 김이식 YISHAN LINKS 대표는 “미래 세대에게는 수학적 사고력이 선택이 아니라 필수” 라고 수학의 중요성을 강조했어요.여러분도 빅데이터 ... ...
- [알고리듬 시그널] 흉가를 빨리 탈출하려면 이걸 알자! 알고리듬의 실행시간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빅오 표기법’이죠.빅오 표기법은 대문자 알파벳 O 옆에 알고리듬 연산 횟수를 괄호 안에 넣어 표기하는 방법입니다. 즉 ‘O(연산 횟수)’로 쓰죠. 빅오 표기법을 보면 알고리듬에 걸리는 시간이 어떤 식으로 증가하는지 한눈에 알 수 있어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답니다. 예를들어 같은 문제를 ... ...
- [특별인터뷰] 한국의 도시 생태를 연구하는, 오통스 세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제한하고, 잔디를 베는 것도 자제해야 해요. 이런 연구 내용을 정리한 논문은 올해 안에 출판될 예정이랍니다. Q올해 지사탐 활동에 특별한 점이 있나요?올해는 제가 지사탐에 참여하는 마지막 해예요. 올해 11월에 미국이나 프랑스로 갈 계획이거든요. 마지막인 만큼 지사탐 대원들에게 추억을 더 ... ...
- [가상충돌 D-8년] 너란 소행성 처음이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빛으로 관측하지요. 반사된 빛의 양이 적어 어두운 밤에만 소행성을 볼 수 있어요. 안 그래도 반사된 빛의 양이 적은데 소행성이 작거나 멀리 있으면 망원경으로 찾기 더욱 어려워요. 또 소행성이 태양 근처에 있으면 관측할 수가 없지요. 밤에만 소행성을 볼 수 있는데, 태양 쪽에 있는 소행성은 ... ...
- [통합과학교과서] 용궁이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이렇게 사건까지 해결해주시니 감사해요.”별주부 장군은 꿀록과 개코를 파티장으로 안내했어요.“그 전에 한 가지만 여쭤볼게요. 문지기님, 혹시 수상한 사람을 보지 못하셨나요? 누군가 제 초대장을 들고 파티에 참석했을지 모르거든요.”꿀록이 주위를 둘러보며 말했어요.“그러고 보니, 조금 ...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주기를 바꾼 원인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현재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해결방안을 마련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선도하는 곳은 유럽이다.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등 유럽 국가들이 참여하는 ‘Beyond EPICA’ 프로젝트가 2016년 시작됐고, 마침내 올해 6월부터 ... ...
- [10대의 약] 상처나면 소독약 꼭 발라야 한다 VS. 아니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하며, 밴드가 많이 부풀어서 진물이 흘러나올 정도가 아니라면 자주 교체해서는 안 됩니다. 또 감염 위험이 있는 상처에는 절대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밀폐된 공간에서 세균이 더 많이 증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Q. 화상용 연고가 따로 있다?헤어 스타일러(일명 고데기)나 여름철 자외선으로 ... ...
- [세상을 바꾼 원소] 금...세상을 이끌어온 노란빛, 인류의 영원한 보물과학동아 l2019년 12호
- HCG)이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을 감지해 임신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테스트기 안에 들어있는 호르몬 감지 물질이 항체가 붙은 금 나노입자다. 만약 소변 속에 HCG가 존재한다면 테스트기 내의 항체에 HCG가 결합하면서 항체에 붙은 금 나노입자로 인해 붉은 띠가 나타난다. 또 인플루엔자나 일부 암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