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다 요나트 박사와 과학 꿈나무들의 만남!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약해서 결정으로 만들 수 없었답니다. 그런데 어느 날, 북극곰이 겨울잠을 잘 때
세포
속 리보솜을 한데 뭉쳐 결정처럼 만든다는 기사를 우연히 읽었어요. 그리고 생각했죠. 리보솜 결정을 아주 낮은 온도에 얼리면 되겠다고 말이에요. 북극곰이 추운 곳에 사는 데에서 힌트를 얻은 셈이죠.그래서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물에 빠지거나, 보온에 신경쓰지 못하면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 저체온에 빠지면
세포
의 대사 과정이 저하되고 몸 안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메커니즘이 하나씩 정지하게 된다. 한 가지 더. 추위를 피하기 위해 술을 먹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알코올은 몸이 떨리는 것을 막고 피부의 혈관을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격차를 줄일 수 있다.뇌단백질체 지도는 만드는 데 최소 5년 이상이 걸릴 예정이다. 뇌는
세포
하나하나가 모두 다른 유형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인체에서 가장 복잡한 기관이기 때문에 시간이 더 걸릴 가능성도 많다. 쉽지 않은 작업인 만큼 완료한 뒤 얻을 수 있는 효과는 크다. 어쩌면 지금 이 ... ...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반고리관에서의 회전감각과 막전위의 관계, 중추에서의 시각 성립 과정, 그리고 생식
세포
의 비분리에 따른 염색체 돌연 변이 문제를 눈여겨 익혀둘 필요가 있다. 이밖에도 실생활 소재를 활용한 응용문제가 새롭게 출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기본개념을 활용하는 유형으로서, 관련 개념을 ... ...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겹치는 부분이 있기 마련이다. 그렇지만 물리학이나 생명과학에 상대성이론이나 줄기
세포
같은 고유분야가 있듯이 화학에서도 노벨화학상밖에 줄 수 없는 분야가 있다. ‘화학의 꽃’이라고 부를 수 있는 유기합성(organic synthesis)이다.올해 노벨상은 유기합성을 연구한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2005년 ... ...
흑인 부모는 어떻게 백인 아기를 낳았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표면에 있는 ‘멜라노코틴-1 수용체’다. 이 수용체가 호르몬과 결합하면
세포
는 피오멜라닌 대신 어두운 유멜라닌을 생산하게 된다.이 수용체의 유전자 염기서열에는 다양한 변이가 존재해 같은 인종에서도 다양한 농도의 피부색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이 단백질의 일부가 다른 아미노산으로 바뀐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소이온으로 바꿔주는 효소로
세포
막에 존재한다. 흥미롭게도 Car4와 PKD2L1는 같은
세포
에 분포한다. 그러나 주커 박사팀이 찾은 PKD2L1가 진짜 신맛 수용체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아무튼 지난 10여 년 동안 주커 교수는 오랜 친구인 리바 박사와 함께 미각의 신비를 밝히는 데 헌신해 왔다. ... ...
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김경진 교수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트레스를 없애는 호르몬(코티졸)을 만드는
세포
가 낮과 밤을 구별하는 생체리듬 분자를 갖고 있다. 코티졸은 낮에는 왕성히 분비되다 밤이 되면 현저하게 감소한다. 생체리듬이 깨지면 코티졸이 제대로 분비되지 못해 불면증이 생긴다. 불면증이 길어지면 ... ...
인공 난소 개발…암 환자 불임 치료길 열리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넣었다.며칠 뒤 실제 난소처럼 난포막
세포
가 과립막
세포
와 난모
세포
를 감쌌고, 난모
세포
는 그 안에서 난자로 성숙했다. 인공적으로 배양한 조직이 실제 난소의 역할을 해낸 것이다.카슨 교수는 “3차원 조직 배양 기술을 이용해 난자를 인공적으로 성숙시킨 첫 번째 성공 사례”라며 “건강한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과에 있는 박태현 교수와 함께 바이오 전자코를 만들었다. 박 교수가 배양한 후각상피
세포
를 고분자재료연구실에서 만든 전도성 폴리머와 연결했더니 기존에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때보다 감응도가 100배 이상 좋아졌다. 장 교수는 이 연구로 올해 7월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을 수상했다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