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명
정신문명
물질문명
교양
culture
생활풍속
문화도
d라이브러리
"
문화
"(으)로 총 2,900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대석상 모아이의 수수께기 - 이스터섬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화산섬으로 칠레 서부해안으로부터 3천7백km 떨어져 있다. 천연의 경관과 고대 거석
문화
를 간직한 탓에 뭇사람들은 한번쯤 찾아보기를 꿈꾸는 곳이다. 몇년 전 캐빈 코스트너가 제작한 영화 ‘라파누이’는 아름다운 이곳을 배경으로 삼았다.이스터는 ‘부활절’이란 뜻. 1722년 네덜란드인 로헤벤이 ... ...
동아·LG 국제만화페스티벌 구경오세요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이에 대해 소프트웨어, 영상산업과 함께 만화를 꼽는데 주저하지 않는다. 만화는
문화
상품의 하나로, 그 파급효과는 실로 기계 한대를 파는 것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크다는 것이다. 실제 세계 각국은 이미 이 황금 시장을 남보자 먼저 차지하기 위해 국가적인 자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하지만 ... ...
컴퓨터 시대의 반항아 사이버펑크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갔고, 사이버 섹스에 탐닉하게 되었다.현실로 뛰쳐나와야1960년대 히피
문화
가 대중
문화
가 될 수 없었던 것처럼, 고도의 컴퓨터사회가 된다 하더라도 사이버펑크가 주류가 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히피가 사라진 지금도 히피정신만은 남아있어야 한다. 삐뚤어진 사회에 대한 비판과 저항, ... ...
머리카락도 패션시대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됐다. 우리의 경우 전통적으로 흑발이 미인의 조건이었던 것을 생각해 본다면 색채
문화
의 발달에 따라 미의 조건도 다양화됐다고 할 수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 시작머리 염색의 기원은 고대 이집트에서 찾을 수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흰머리를 감추기 위해 검은 암소의 피와 거북의 등껍질, ... ...
권위의 상징 문장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삼국을 통일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는 한 민족의 정체성이 형성됐다. 이 통일된 국가의
문화
가 고려와 조선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것은 바로 삼재론에 기원을 둔 삼태극의 형상이다.군왕의 덕목 상징하는 봉황 열가지 동물 장점 갖춘 상상의 새대한민국의 문장(1963년 12월 10일 규정)은 ... ...
화성을 향한 인류의 짝사랑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않을까. 분명한 것은 우리의, 우리나라 사람이 주인공인,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한 SF
문화
의 육성이 그 시작이라는 점이다. 행성 및 달 탐사 계획1997년 9월 12일 마르스 글로벌 서베이어(미국)1996년 11월 7일 발사된 화성탐사선 마르스 글로벌 서베이어가 화성궤도에 도착 예정.글로벌 서베이어는 3차원 ... ...
② 과학으로 풀어본 X파일의 실체 : 예시력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거의 없을 것이다.역사상에서 발견할 수 있는 가장 유명한 예언가로는 단연 유럽
문화
사의 한 장을 차지하고 있는 노스트라다무스를 꼽을 수 있다. 그러나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4행시를 통해 이루어진 그의 허다한 예언은 해석상의 문제를 안고 있다. 즉 모호하기 그지없는 서술은 사람마다 코에 ... ...
② 과학으로 풀어본 X파일의 실체 : 흡혈귀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봉건 영주의 지배하에 있던 이 당시의 장원은 지리적으로나
문화
적으로나 고립돼 있었다. 당연히 대부분의 배우자 선택도 이 안에서 이루어졌다.진화론적 입장에 있는 생물학자들은 재생산의 목적은 단지 종의 번식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교접을 통해 유전물질을 ... ...
사랑을 충동질하는 뇌분비물질들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하는 역할은 뇌 안의 PEA나 엔도르핀 같은 화학물질이 떠맡는다. 요컨대 사랑은 정신
문화
의 소산임과 동시에 생물학의 문제인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생물학적 관점에서 사랑은 선택이 아니라 필연이다. 종의 보존을 위해 사랑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자식을 사랑하는 부모라야 자식의 생존을 위해 ... ...
컴퓨터사이언스 경연장 미래가정 엿보기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불러 운동을 한다. 영화 이야기는 주택
문화
관에서도 그대로 맛볼 수 있다.일단 주택
문화
관에 들어가면 집 열쇠가 필요없다. 문 앞에서 “열려라” 하고 소리치면 자동으로 열린다. 지문인식 도어보다 한단계 앞선 음성인식 도어를 단 것이다. 음성 특징을 컴퓨터에 입력하면 주인의 소리에만 반응해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