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한"(으)로 총 12,947건 검색되었습니다.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4차원 세계로 들어간 화가, 파블로 피카소와 큐비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관심이 많았습니다. 어느 날 ‘과학과 가설’이라는 글을 읽고 푸앵카레의 ‘차원론’에 대한 이야기를 피카소에게 들려줍니다. 피카소의 새로운 차원 피카소는 캔버스에 입체의 여러 면을 한꺼번에 나타내고 싶었습니다. 즉 인물의 앞모습을 그리면서 동시에 뒷모습과 옆모습 표현하려던 ... ...
- [핫이슈] 마지막 모험, 함께 해줄래? 드래곤 길들이기 3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고향 ‘히든 월드’가 있단다.” 히컵의 아버지는 히컵이 어릴 때부터 히든 월드에 대한 전설을 알려줬어요. 히든 월드를 찾기 위해 먼저 버크 섬의 위치부터 알아봐요. 지난 시리즈에서 히컵은 버크 섬을 “북쪽으로 12일을 가면 나오는 얼어 죽을 듯 추운 섬” 그리고 “1년 중 9달은 눈이 오고 ... ...
- 어서와! 고등학교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각 교과 과정의 특징에 맞게 수업 안에서 진행되므로 교과목별 수행평가의 유형에 대한 파악을 해두고 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원점수에 따라 A~E등급을 부여하여 절대평가하는 중학교와 달리, 고등학교에서는 상위누적(석차) 비율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여 상대평가를 합니다. 어떤 수업을 듣는 ...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에서 수원청개구리 기사를 처음 봤어요. 그때부터 멸종위기동물인 수원청개구리에 대한 호기심이 생겼고, 2013년부터 지구사랑탐사대 1기 활동을 시작했답니다. 그뒤 지금까지 6년째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이어오고 있죠. 올해 전국과학전람회에 출품한 작품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 ...
- Part 1.새로운 실크로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떠났다. 하지만 흉노에게 붙잡힌 장건은 13년 동안 흉노와 함께 지내면서 서방 지역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이후 한나라로 돌아온 장건은 다른 나라의 문물을 한나라에 전달했다. 흉노를 피해라! | 흉노는 기원전 3세기~서기 2세기 말, 몽골에서 러시아 남쪽까지 펼쳐진 초원지대에 자리잡은 강력한 ... ...
- Part 4. 실크로드 사람이 없어도 뱃길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배는 보통 ‘벙커C유’라는 기름을 연료로 쓰는데, 이 연료의 황산화물 함유량에 대한 기준이 3.5%라 대기 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거든요. 자동차 경유의 황산화물 함유량이 0.001%인 것과 비교하면 3000배 이상 많은 수준이지요. 이 때문에 국제해사기구(IMO)는 2016년 10월, 선박 연료의 황산화물 ... ...
- [JOB터뷰] 곤충 덕후, 만화가 되다! 갈로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살았기 때문에 직접 화석을 캐러 갈 수 없었다”고 답했지요. 고생물학과 곤충, 우주에 대한 이같은 ‘덕심’은 작가의 만화로 이어지고 있었답니다. Q 왜 만화가가 생물을 공부하고 있나요? 중학교를 졸업할 때쯤 그림을 그릴지 이과를 갈지 진로를 고민했어요. 어렸을 때부터 곤충도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탈출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주도한 주시 라이노넨 연구원은 “이번 연구 자료는 눈에 의한 피해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을 세우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 스토리 채윤이가 미션을 완수하자 눈송이가 날카로운 표창으로 변했어요. 수호가 잽싸게 표창을 날려 피젯 스피너를 맞추자 피젯 ... ...
- Part 3. “다음 정거장은 달입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수 있는가?’ 등 우주에 대한 다양한 질문들에 대해 답을 찾고 있어요. ISS는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우주에 띄운 실험실이지요. 그리고 ISS에서 얻은 실험 결과들은 미래에 사람이 직접 ●심우주를 탐사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단서가 될 거예요. 즉, ISS는 본격적인 우주탐사를 위한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매리는 색깔을 맞힐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매리는 두 빛을 보았을 때 다른 느낌을 갖게 되지요. 하지만 매리가 이 모든 과정에 대한 자연과학 지식을 안다고 해도 빨강을 볼 때의 느낌과 노랑의 느낌을 알 수 없어요. 직접 빨강이나 노랑을 보지 않고서는 말이에요. 즉, 매리는 시각세포를 통해 빛을 받아들이는 과정과 색깔을 보았을 때의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