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뉴스] 지구가 거대한 망원경의 렌즈 역할을 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약 14배 큰 렌즈와 맞먹는 성능의 망원경을 만들 아이디어가 나왔어요. 미국 콜럼비아대학교의 천문학자 데이비드 키핑 교수가 지름 1m의 망원경 ‘테라스코프’를 달 너머에 설치하자는 논문을 발표했지요.테라스코프는 지구 대기를 거대한 렌즈처럼 사용해요. 천체에서 나온 빛이 대기를 지나면 ... ...
- [현장취재] 지구사랑탐사대, 백두대간에서 생물의 흔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1박 2일 간 2회로 열린 이번 캠프에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 140명과 탐사대장인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를 비롯해 생태 전문가가 참여했지요. 이번 캠프의 주제는 ‘생물의 흔적 찾기’였어요. 귓가에 스쳐 지나가는 새소리를 놓치지 않고, 멧돼지가 지나간 발자국을 포착하며 다양한 ... ...
- [통합과학 교과서] 가 탐정 사무소를 찾은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시도는 많았지만, 약물을 고체 형태로 바꾸는 과정이 꼭 필요한 단점이 있었어요. 숭실대학교 배원규 교수는 논문을 통해 “기존 주사기처럼 액체 형태의 약물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으면서, 신경 세포를 찌르지 않아 주삿바늘이 주는 거부감이나 통증을 없앴다”며 이번 연구의 의미를 ... ...
- 누구나 먹을 수 있는 빵을 만들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찾았지요. 그 결과 교배를 통해 새로운 밀을 만들 수 있게 됐어요.이 연구에 참여한 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서용원 교수는 “질병과 관련된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유전자를 정확히 알면, 알레르기를 줄일 수 있는 밀 품종을 개발할 수 있다”고 말했어요. 이어, “잘 늘어나는 성질이 있는 글리아딘과 ... ...
- 호랑이 호구조사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호랑이를 찾아라 도움김동진(별빛생태농원 대표, 전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이항(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 임정은(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선임연구원), 야드벤드레이데브 잘라(인도야생동물연구소 교수) | 참고자료조선의 생태환경사(김동진, 2017), Status of tigers in India 2018(Wildlife ... ...
- [과학뉴스] 새로운 탄소 분자를 만들어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그런데 8월 15일, 새로운 탄소 분자를 합성해냈다는 연구가 발표됐어요.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와 스위스 IBM취리히연구소 공동연구팀의 성과지요. 새로운 탄소 분자 ‘사이클로카본’(위 사진)은 18개 탄소가 동그랗게 모여 고리 모양을 하고 있어요. 지금까지 많은 화학자들이 고리 모양의 탄소 분자를 ... ...
- [실전!반려동물] 우리집 막내가 새끼를 낳았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묻혀 주면 아무거나 삼켜서 생기는 사고를 막을 수 있어요. 최영민 수의사. 건국대학교에서 수의학 박사를 받았으며, 최영민동물의료센터를 운영 중이다. 서울시수의사회 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TV 동물농장’ 프로그램의 자문을 맡고 있다 ... ...
- 벌레로 벌레를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문제가 나타나지 않아 장기적으로는 좋은 방법”이라고 밝혔어요. _INTERVIEW김왕규 (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도시에 잔물땡땡이를 풀어주었어요!” Q 모기를 잡는 천적 곤충은 어떻게 고르셨나요?모기의 천적은 여러 종류가 있지만, 생물학적 방제로 쓸 수 있는 천적은 그중 일부예요. ... ...
- 개발VS보존, 비자림로의 운명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사), 김익기(한양대학교 교통물류공학과 교수), 배윤혁(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생명다양성재단 연구원), 안재하(생명다양성재단 연구원), 이강원(한국사회갈등해소연구소장 ... ...
- 비자림로 확장 논쟁 2 삼나무 토양 산성화?! VS 생명의 보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삼나무 꽃가루가 봄철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는 것도 벌목의 근거가 되고 있어요. 제주대학교 환경보건센터에 따르면 삼나무는 쌀 한 톨 크기의 꽃 하나당 약 1만 3000개의 꽃가루를 만들어 공기 중으로 퍼뜨리고, 도내 알레르기 질환의 주 원인이 되기 때문이지요. 삼나무는 다양한 생물의 핵심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