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쪽
내면
밑바탕
안
속
밑동
밑
d라이브러리
"
내부
"(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스튜디오로 지난 2월 세계에서 4번째로,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문을 열었다. 스튜디오
내부
로 들어서니 마치 금방이라도 말하고 움직일 것 같은 생생한 3차원 입체사진들이 눈길을 놓아주지 않는다.3차원 영상을 재현하는 홀로그램은 국내에 많이 보급됐지만 인체 홀로그램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 ...
얼음에 수소 저장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유기분자(테트라하이드로퓨란)를 첨가한 뒤 물을 냉각했다. 이때 얼음이 만들어지면서
내부
에 형성된 나노 크기의 공간에 수소가 안정적으로 저장되는 현상을 발견했다.이 교수는 “저장된 수소의 무게는 얼음 전체의 4% 정도”라며 “자연계에 풍부한 물을 이용해 수소를 대규모로 저장할 수 있는 ... ...
머리카락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40~60대는 20`~30대의 50%, 70대 이상은 10%에 불과했다고.최근 로레알 연구소는 멜라노사이트
내부
에 있는 다이하이드로옥시인돌이라는 물질이 멜라닌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물질을 합성해 모발용 약품을 만들어 흰머리에 처리하면 원래 색을 되찾을 수 있는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정찰작전에 투입된 것이다. 롭해즈는 이번 작전에서 인근 마을의 건물에 들어가
내부
동향을 파악하는 임무를 맡았다. 목표한 건물 앞에 차를 세우고 롭해즈를 투입했다. 롭해즈는 시속 4km 속도로 조심스럽게 목표건물에 다가갔다.10, 20, 30,…, 50m. 롭해즈가 점점 멀어지면서 갑자기 화면이 떨리기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2002년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에는 어떤 물질에 충격을 준 뒤 일정 시간이 지나면 물질
내부
의 원자 구조가 달라진다는 논문이 실렸다. 이 논문은 김 교수의 ‘어떻게’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했다.논문에서 근거로 제시한 방법은 어떤 원자를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에 주변 원자가 몇 개나 있는지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교체하는 것이 더 나은 방법일 것이다.현재의 시냅스 관련 신경과학 연구는 마치 자동차
내부
각 부분의 기능을 이해하듯 가소성 관련 인자들의 기능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상황이다. 각 부분에 대한 이해가 끝나면 이들을 선별적으로 활성화시키거나 억제해 궁극적으로 기억력 향상이나 치매 같은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크기지만 큰 원들로 둘러싸인 것이 더 작아 보인다. 폰조 도형에서는 2개의 수렴하는 선
내부
에 길이가 같은 두 선분을 놓으면 뒤에 있는 것이 더 길어 보인다. 이것은 원근에 의한 효과다.자스트로 도형에서는 위·아래가 똑같은데 아래쪽이 더 크게 보이며 분트 도형에서는 두 평행선이 굽어 ... ...
토성의 달 엔셀라두스에 대기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수 없다. 연구자들은 “이 대기층은 아마도 화산활동 또는 간헐천이나 아니면 표면이나
내부
에서 분출된 가스로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결국 엔셀라두스의 대기층은 이런 활동으로 계속 보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현재 화산활동이 관측된 태양계의 위성은 목성의 이오와 ... ...
고온 통증 느끼는 피부 단백질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연구결과 TRPV3이 피부에 분포한다는 점을 처음 밝혔다”고 말했다.그동안 피부는 신체
내부
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로만 여겨져 왔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피부가 외부 통증을 직접 감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는 사실이 규명된 것.황 교수는 “TRPV3이 온도뿐 아니라 염증으로 인한 통증도 담당한다”며 ... ...
플라스크 속에서 별이 빛났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실제 일어난다면 이는 진정한 ‘초미니 별’인 셈이다. 태양을 비롯한 별은
내부
에서 핵융합이 일어나 그 에너지로 빛을 내는 천체이기 때문이다.지난 2002년 미국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의 루시 테일야칸 박사팀은 최초로 기포핵융합을 일으키는데 성공했다고 ‘사이언스’에 발표해 엄청난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