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머지"(으)로 총 2,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기 만드는 기술과학동아 l1997년 08호
- 사라진다. 따라서 40만개의 난자 중에서 0.1%인 4백개의 난자는 성장하여 배란이 되지만 나머지 99.9%는 쇠퇴해버린다.난소 바깥으로 배출된 난자가 정자와 만나 수정되면 임신이 된다. 요컨대 가임기간이 사춘기부터 폐경기까지 30여년에 불과하고 가임능력이 35살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는 것은 ... ...
- 2. 현대 통일장이론의 최전선과학동아 l1997년 07호
- 상호작용에 대한 부분, 즉 보존에 대한 부분을 기하학적으로 잘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나머지 반, 즉 페르미온에 대한 부분은 만족스런 설명을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초대칭이란 중요한 개념의 도입으로 보완된다.초대칭성이란 막스플랑크연구소의 베스 박사와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의 ... ...
- 통일장이론과학동아 l1997년 07호
- 나는 신이 어떻게 이 세계를 창조했는지 알고 싶다. 신의 생각을 알고 싶은 것이다. 나머지는 지엽적인 것에 불과하다." 상대성이론으로 잘 알려졌지만 아인슈타인은 사실 통일장이론 연구에 평생을 바쳤다. 아인슈타인의 꿈처럼 자연계의 4가지 힘은 통일될 수 있을까. 물질과 힘은 끈의 요동인가, ... ...
- 사랑을 충동질하는 뇌분비물질들과학동아 l1997년 07호
- 구성비율을 보면 중성구 50%, 대식세포 40%, 임파구 10%이다. 임파구의 80%는 T임파구이고 나머지는 B임파구이다. 아이들의 면역계는 다섯살까지도 완전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유엔아동기금(UNICEF)과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아이들을 2년 이상 모유로 기를 것을 권고하는 까닭이다. 물론 우유나 ... ...
- 3. 통일장 이론의 스타들: 초끈이론 개발한 존 슈바르츠과학동아 l1997년 07호
- 나는 신이 어떻게 이 세계를 창조했는지 알고 싶다. 신의 생각을 알고 싶은 것이다. 나머지는 지엽적인 것에 불과하다. " 아인슈타인은 상대성이론을 발표해 20세기 가장 위대한 과학자라는 칭송을 받으면서도 웬지 성에 차지 않았다. 그가 진정 꿈꾸는 것은 만물의 법칙인 통일장이론(unified field theory ... ...
- 1. 인간을 이긴 컴퓨터가 전하는 메시지과학동아 l1997년 06호
- 절대 하지 않을 실수를 범한 것이다. 19수만에 카스파로프의 패배. 그는 이 때 흥분한 나머지 체스판을 뒤엎기까지 했다.따지고 보면 체스에 관한 한 2인자와의 거리가 구만리라는 카스파로프 역시 인간의 생물학적 특성에서는 한발짝도 벗어날 수 없는 존재였다. 기계야 전원만 들어오면 언제라도 ... ...
- 2. 공개와비밀의 조화, 현대암호의 출현과학동아 l1997년 06호
- 암호문을 해독한다.평문 =${26}^{7}$ = 8031810176 = 5(mod 33)즉 암호문 ‘26’을 n(=33)으로 나눈 나머지 값 ‘5’로 계산해낸다. 물론 컴퓨터 화면에는 “신상품을 소개한다”는 문장의 형태로 암호문이 해독돼 나타난다.홈쇼핑에 필수신상품 소개문을 모두 읽은 고객이 회사에 상품을 주문할 경우를 ... ...
- 5. 20대 젊음을 불태운다과학동아 l1997년 06호
- 현재 직원은 28명. 이가운데 석사 졸업자는 20%. 이 가운데 석사 졸업자는 20%정도이고, 나머지는 학부 졸업생이거나 아르바이트 학생들이었다.태울의 주 수입은 인트라넷. 인터넷을 이용해 기업 내부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일이다. 태울은 그 동안 전자통신연구소(ETRI), LG화학 연구소, LG화학 ... ...
- 4륜구동의 비밀은 힘나누기과학동아 l1997년 06호
-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파트타임방식은 전륜, 또는 후륜만이 웅덩이에 빠졌다면 나머지 구동바퀴로 어려움 없이 빠져 나올 수 있다. 하지만 풀타임방식은 센터 디퍼런셜이 전후 바퀴의 회전수를 조절해, 웅덩이에 빠진 바퀴만 공회전한다. 이런 경우를 대비해 풀타임방식에는 일시적으로 ... ...
- 4. KAIST학생설문/ 벤처기업에 도전하시겠습니까?과학동아 l1997년 06호
- 2000년 내에 가능하다고 보는 응답자는 5%,2010년 내에 가능하다고 보는 응답자는 46%, 나머지 54%는 2010년 내에는 불가능하다고 보았다. 과정별로 가장 많은 응답자의 의견을 보면 학부과정은 2020년 내(36%), 석사과정은 힘들다고 봄(34%), 박사과정은 2010년 내(31%)를 나타내박사과정에 있는 사람들이 비교적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