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가
국토
국민
겨레
민족
세상
배달나라
d라이브러리
"
나라
"(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상한
나라
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봅니다. 이상하고 황당하면서도, 수학적인 논리가 숨어 있는 세계를…. 여러분도 '이상한
나라
의 앨리스'를 다시 읽어보세요. 그 속에 숨어 있는 수학을 알면 오래된 명작 소설도 색다르게 보일 거예요 ... ...
Part 2. 세계 곳곳에서 쓰였던 χ의 다양한 이름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디오판토스의 책을 읽고 미지수를 기호로 표현하는 방법도 배우게 됐어. 하지만 각
나라
에서 미지수를 서로 다르게 사용하다 보니 혼란이 생길 수밖에 없었겠지. 적당한 방법으로 미지수를 통일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어. 1637년 프랑스의 수학자인 데카르트도 그 중 한 명이었어 ... ...
수학으로 하늘의 뜻을 알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그 결과 탄생한 것이 칠정산내편과 칠정산외편이다.칠정산내편은 중국식 역법을 우리
나라
에 맞게 고쳐 만든 역법이다. 해와 달의 위치 변화가 표로 담겨 있어 이를 이용해 해와 달이 언제 같은 자리에 오는지 계산했다. 칠정산내편에서는 원의 중심각을 1년의 길이인 365.2425°로 정했기 때문에, 해가 ... ...
왜 2000원짜리 돈은 없을까?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그래서 2달러 지폐는 지불수단이라기보다 수집의 용도로 쓰이고 있습니다.우리
나라
에 2000원 지폐가 있다? 없다?한국은행은 2001년 6월 13일 '한국은행 화폐금융박물관' 개관을 기념해 유통목적이 아닌 2000원권 지폐를 발행한 적이 있습니다. 2000원권을 새로 만든 것이 아니라 1000원권 2장이 상·하로 ... ...
국내 하나뿐인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밤에도 꼭 한두 명씩 지노 곁을 지킨다.알파갈 합성효소 유전자를 제거한 돼지를 만든
나라
는 한국을 포함해 4곳뿐이다. 그만큼 지노는 ‘귀한 몸’이다. 지노가 출생할 때까지 약 5년간 34억 원이 넘는 연구비가 들었다.소리에 민감하고 성격 거칠어귀한 몸인데다 성격도 예민하고 ‘약골’로 ... ...
마음을 울리는 청아한 소리 양금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처음 본 파이프오르간으로 우리 전통음악을 연주했다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또한 그는
나라
의 명이 있다면 파이프오르간을 그대로 제작할 수 있다는 기록도 남겼다. 19세기 들어 악보가 제작되면서 양금은 현악기로 이뤄진 합주곡(현악영산회상)과 가곡, 단소와 함께 하는 연주에 본격적으로 쓰이기 ... ...
열 오른 지구의 신음을 보라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변하면서 산업 개발과 전혀 무관한 곳이 피해를 보는 경우도 있다. 태평양에 있는 작은 섬
나라
투발루가 한 예다.투발루는 개발이 거의 되지 않고 자연 상태로 남아 있어 환경파괴에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하지 않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가장 크게 당하고 있다.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투발루의 ... ...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얘기다. 남 실장은 “질적, 양적 수준에서 한국과 비슷한 수준의 연구용 쇄빙선을 보유한
나라
는 독일 정도에 그친다”며 아라온 호에 대한 자긍심을 나타냈다.“아라온 호의 총 건조 비용 1030억 원 가운데 200억 원이 연구 장비를 갖추는 데 쓰였어요. 연구원 60명과 승무원 25명을 태우고 70일간 ... ...
디지털 원전의 시간을 돌려라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7~8위 정도(원자력의 기술수준은 보통 운영하는 원전 기수를 기준으로 평가한다)로 다른
나라
들에 비해 크게 뒤처지는 수준은 아니지만 원전을 짓는 기술은 모두 외국으로부터 차용하고 있었다.원자력이 가진 풍부하고 안전한 에너지원으로서의 가치를 믿었던 서 교수는 우리만의 원전 기술이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안보와 풍족한 삶을 보장해 주는 가장 기본적인 농학 기술이다. 육종 발전 없이는 그
나라
의 농업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한국이 낳은 가장 위대한 육종학자 우장춘 박사의 서거 50주년을 맞이해 한반도에도 육종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자리 잡기를 간절히 바란다.박효근 교수는 서울대 농학과를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