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코로나19에도 새는 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새의 울음소리를 듣고 구분하며, 데이터 수집을 위해 앱에 소리를 녹음했어요. 장이권 교수님은 “도시와 시골의 배경 소리가 다른 만큼 새도 사람처럼 지역마다 울음소리 패턴이 다르다”며, “같은 종이라도 쓰는 사투리가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소리를 모으고 있다”고 탐사 목적을 ... ...
- 비둘기 깃털에서 아이디어가 반짝! 태양광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안녕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의 실험맨, 정한길 기자예요. 최근 흥미로운 뉴스를 하나 봤습니다. 한국항공대학교에서 만든 태양광 무인 비행기 ‘KAU ... 항공연구본부 선임연구원), 배재성(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교수), 박상혁(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교수 ... ...
- [만화뉴스] 나노 플라스틱, 식물 성장도 방해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일반 토양에서 자란 애기장대에 비해 무게가 41.7%~51.5% 가량 적었어요. 바오산 싱 교수는 “미세 플라스틱이 식물의 수확량을 줄일 수 있다”며 “식물을 먹는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도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보다 맛있는 복숭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약 100년 동안 북미와 유럽의 기온과 호박벌의 개체 수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어요. 커 교수는 기온이 오른 지역에서 꿀벌과에 속한 호박벌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들고, 무분별하게 살충제를 사용한 지역에서 꿀벌의 수가 줄어들었단 사실을 알아냈답니다. 이렇게 꿀벌의 수가 줄면 수분이 잘 일어나지 ... ...
- [헥!헥! 핵물리학자] 흡사 입자 탐정 수사극? ‘검출기’ 속 입자의 흔적을 추적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지금 이 순간에도 하늘에서 수많은 입자가 쏟아지고 있어요. 예를 들어, ‘뮤온’이라는 입자는 양 손바닥을 1분에 약 200개씩 통과하고 있는데 우리 몸은 전혀 느끼지 못하지요. 핵물리학자는 이런 작은 입자들을 가속기에서 만들고 찾아내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어요. 입자의 흔적을 추적할 수 있 ... ...
- [질문하면 답해 ZOOM] 껌 씹을 때 찬물을 마시면 왜 딱딱해지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보아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고 ... 라이소자임 효소는 세균을 죽여 우리 몸을 지킨답니다. 도움★최정훈(한양대학교 화학과 교수), 김가람(원주 태장중학교 과학교사) ... ...
- 디지털 세상, 안심하고 즐기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안녕 친구들? 나는 디지털 세상을 안심하고 즐길 수 있게 돕는 사이버 보안관이야!어린이과학동아가 지난 6월 10일, 굿커뮤니티 규칙을 발표했다고 들었어.누구나 즐겁게 ... 회장), 정제영(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선미숙(이화여자대학교 학교폭력예방연구소 연구교수), 네이버, ... ...
- [JOB터뷰] 따뜻한 사회역학자, 김승섭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줄이는 것이 사회역학자의 몫이라고 생각합니다.” Q&A과학의 힘을 믿으세요! 김승섭 교수 “주말마다 한 보건소의 선별진료소에 나가 진료를 보고 있어요. 사회적 낙인과 차별은 코로나19의 확산을 막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아요. 과학의 힘을 믿으세요. 과학적으로 생각하면 막연한 ...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빛나는 모습을 그린 상상도예요. 6월 15일, 벨기에 리에주대학교 장 클로드 제라드 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지난해 TGO가 화성 상공 80~120km에서 녹색 빛을 관측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이 녹색 빛이 태양에서 온 강한 에너지 입자가 산소 원자와 반응해 발생한 ‘대기광’이라고 설명했어요 ... ...
- [특집] 디지털 세상, 안전하게 누리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통해 디지털 공간에서의 따돌림이나 악성 댓글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에요. 정제영 교수는 “착한 인공지능을 만들기 위해서도 디지털 리터러시가 필수”라는 뜻밖의 설명을 했어요. 인공지능은 온라인상의 정보를 학습하는데, 사람들이 욕이나 비속어, 혐오 표현을 적으면 이를 그대로 배우기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