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수학 교과서가 어떤 방법으로 우리를 1과 2도 구분하지 못하는 단계에서 미·적분까지 가능하도록 이끌었는지, 또 충분히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부분을 벗어나 어떤 세계를 감추고 있었는지 청문회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팩트체크V 수 체계이 증언은 실제로 인터넷상에서 네티즌들에게 수천 회 ... ...
- [따끈따끈 수학] 필즈상 수상자도 도전한 무작위 베르누이 행렬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4호
- 한 평면에 있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같은 벡터가 2번 나오면 원점과 같은 평면에 있는 게 가능하지요. 또 앞선 두 차례에서 (1, 1, 1), (-1, -1, -1)을 뽑았다면 나머지 한 점을 어떻게 뽑더라도 그 4개 점을 동시에 지나는 평면이 있습니다. 원점과 (1, 1, 1), (-1, -1, -1)은 한 직선 위에 있는데, 직선 1개와 ...
- Part 5. 동물이 없는 동물 축제는 어떨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수 있단 사실을 깨닫길 바란다”고 말했답니다. ● 인터뷰 - “동물도 행복한 축제, 가능해요!” 김산하(생명다양성재단 사무국장) Q 왜 동축반축을 만드셨나요? 해양생물보호 단체인 ‘시셰퍼드 코리아’와 함께 고래 축제에 반대하는 이벤트를 기획하면서 시작됐어요. 보통 사람들이 무언가를 ... ...
- 공룡 멸종의 결정적 요인, 행성출동과 화산폭발의 '원투펀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트랩은 지질시대의 마지막 대멸종인 백악기-고제3기 대멸종이 화산활동과 관계됐을 가능성을 강하게 제기했다. 실제로 화산폭발은 2018년 개봉한 영화 ‘쥬라기 월드:폴른 킹덤’에서 묘사된 것처럼 인근 생물들에게 치명적이다. 화산과 멀리 떨어져 있다면 괜찮지 않을까 생각할 수도 있지만, 꼭 ... ...
- [탄생 150주년]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지금까지 이런 주기율표는 없었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걸릴 것”이라며 “함께 토론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를 가능성이 큰 만큼 가능하면 친구들과 함께 만들어 보길 추천한다”고 말했다.학생들은 저마다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주기율표를 만들기 시작했다. 조마다 풍경은 제각각이었다. 웅성웅성 서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조율하며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빅뱅의 산물, 수소와 헬륨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부족했습니다. 이에 가모프는 별의 내부와 같이 뜨거운 온도와 압력으로 핵융합이 가능한 곳을 떠올렸습니다. 그러면서 가설로만 있던 빅뱅 우주론에 생각이 닿았습니다. 빅뱅 우주론에서는 초기 우주에 모든 물질들이 아주 작은 공간에 뭉쳐 있어 온도가 굉장히 높았을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 ...
- [포토뉴스] 쌍곡면으로 바다 민달팽이처럼 움직이는 로봇 만든다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있는 소리입니다. 하지만 만약 연체동물처럼 아주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로봇이 가능하다면 어떨까요? 최근 한 수학자가 쌍곡면을 적용해 마치 연체동물처럼 움직이는 로봇을 만드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했습니다.주인공은 쉔카 벤카타라마니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수학과 교수입니다. ... ...
- 정재승|재밌는 과학, 따뜻한 과학으로 대중의 마음을 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도시를 기획한다는 것은 놀라운 경험입니다.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일을 한다는 데 큰 보람을 느껴요.”그가 스마트시티 총괄책임자를 맡게 된 데는 지난 8년 동안 신경건축학 분야의 학회를 만들고 이끈 경험이 크게 작용했다. 그럼에도 뇌과학자가 도시 기획을 ... ...
- [맛있는 수학] 함수 품은 블랑망제 푸딩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증명하는 것은 우주에서 모래를 찾는 일처럼 어려운데 언뜻 보기에 ‘연속 함수는 미분 가능하다’는 명제는 당시 수학계에서 명백하게 여겨졌기 때문이죠. 톨은 자신의 논문에서 블랑망제 함수의 의의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연필을 들고 따라 그려보면 쉽고 확실하게 블랑망제 함수의 ... ...
- [GO! GO! 고고학자] 테르모필레 전투의 비밀을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사람이 살기에 적합한 곳에 발달하기 때문에, 오랜 옛날부터 사람이 정착한 곳이었을 가능성이 있거든요. 고고학자는 과거를 추적하는 탐정! 고고학자는 역사기록에 남아 있지 않은 흔적까지 찾아요. 역사는 누군가 글로 남긴 기록이라서, 쓴 사람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했거나 감추고 싶은 일은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