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40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남극 지하에 거대한 소금물 호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연구진은 화성 남극 얼음층 지하에서 대규모 염수 호수가 존재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천문학’ 28일자에 발표했다. 독일 면적의 5분의 1 크기에 달하는 대규모 염수 호수 주변으로 작은 호수 3개도 추가로 발견됐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2년 전에도 화성 남극 얼음층 지하에 대규모 ... ...
유럽의 행성망원경 '키옵스' 첫 관측물은 3200도의 타원형 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교수 연구팀은 키옵스를 활용해 WASP-189b 행성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이달 28일 국제
학술
지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에 발표했다. 키옵스는 유럽우주국(ESA)의 첫 외계행성 우주망원경우로 지난해 12월 발사됐다. 키옵스는 외계 행성을 찾아내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행성사냥꾼 테스(TESS) 같은 ... ...
정은경 청장, 세계 공학계에 '코로나 방역 경험' 소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1978년 창설됐으며 매년 의장국에서 기조강연과 심포지움, 국제회의를 포함한
학술
행사를 개최한다. 한국은 2000년 공식회원으로 가입했다. 올해 의장국은 한국으로, 한국공학한림원은 ‘더 나은 세상, 스마트 사회로 가는 길’을 주제로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나흘간 행사를 개최한다. ... ...
[AI대학원 가이드] (중) AI교수 5인이 말했다 "AI대학원에선 이런 공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간 정합을 시키는 데는 이미 성공했다. 관련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올해 컴퓨터 비전 분야
학술
지 ‘IJCV’ 편집위원을 맡았다. 조 교수는 변화가 심한 영상에서도 정합을 안정적으로 이루는 게 목표다. 그는 “영상 정합 연구에서 여전히 앞으로 가야할 길이 멀다”며 “결국 영상 정합의 불완전성이 ... ...
[강기윤 의원] “식약처 렘데시비르 국내 3상 부작용 알고도 허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다만 중증 환자에 대한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월 23일 미국 의학
학술
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에 발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중증 환자의 경우 위약그룹과 회복기간의 차이가 전혀 없었다. 인공호흡기를 삽관하거나 체외막산소공급(ECMO)을 이용해야 하는 위급한 ... ...
타이타닉호를 침몰로 몰고 간 건 '천문현상'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관련 논문만 4차례나 발표했으며 이번 연구도 영국왕립기상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
지 ‘기상’ 8월 4일자에 실렸다. 진코바 연구원이 침몰을 유발한 원인으로 지목한 지자기 폭풍은 전기를 띤 태양 입자가 대량으로 지구 대기권 밖을 강타해 발생하는 현상이다. 태양은 매초 100만 t의 물질을 ... ...
도시 발 아래에 '땅 속 탄소 저장고'가 있다...새롭게 주목 받는 지하 탄소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생기고 있다. 개간과 산림 파괴로 육지 침식이 늘었고 퇴적물 유입도 늘었다. 2020년
학술
지 ‘사이언스 불리틴’에 따르면, 특히 남미 지역에서 2000~2010년 사이에 퇴적물이 크게 늘었다. 해안습지는 막대한 양의 탄소를 저장하는 저장고다. 특히 기후변화로 해수면이 급격히 높아지면 저장되는 ... ...
식품첨가제로 만드는 태양전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공동연구를 통해 친환경 용매에 잘 녹는 고분자 물질을 합성하는 데 성공하고 재료 분야
학술
지인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 최신호 온라인판에 게재했다고 28일 밝혔다. 건물의 창문이나 외벽에 붙이는 이른바 ‘바르는 태양전지’는 용액 공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태양전지 소재가 ... ...
[표지로 읽는 과학]'새 머리'라고 무시 마라 포유류 못지 않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7
존재하며 이 신경망 덕분에 새가 뛰어난 인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됐다고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25일자에 발표했다. 인류는 한동안 고차원적인 지각능력 또는 인식능력이 인간에게만 존재하는 독특한 능력이라고 믿었다. 또 이런 능력이 인류 특유의 복잡하게 발달한 대뇌 피질 덕분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녹아내린 남극 빙상 다시 돌아오지 못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6
제공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거센 파도에 부딪히고 있는 남극 빙상의 모습을 24일 표지로 실었다. ‘되돌아 올 수 없는 지점(Point of No Return)’이라는 큰 문구와 함께 지구 온난화가 되돌릴 수 없는 남극 빙상 붕괴를 가져오고 있다고 설명한다. 빙상은 면적이 5만㎢(제곱킬로미터) 이상의 거대한 빙하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