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스페셜
"
속
"(으)로 총 2,423건 검색되었습니다.
[만화] 체했을 때 바늘로 손가락 따면 낫는다?!
KISTI
l
2015.09.24
거지. 굶으면서 따듯한 보리차만 조금씩 마시다가 좀 나아지면 소화가 잘 되는 죽으로
속
을 달래는 게 최고야.” “그, 그건 절대 용납할 수 없어요. 산해진미가 가득한 이 명절에, 절 보고 요염하게 손짓하는 저 갈비들을 외면하고 굶으라고요?! 그거 말고 다른 방법은 없어요?” “한 번에 확 ... ...
세계 첫 사용후핵연료 영구 처분시설 ‘온칼로’ 1화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9.22
사용후핵연료의 영구처분을 준비했다. 핀란드는 1983년에 이르러 오랜 논의 끝에 땅
속
깊은 곳에 사용후핵연료를 처분하는 것이 땅위에 저장하는 것보다 훨씬 안전하다는 결론을 내리며 영구처분 시설을 갖추기로 결정했다. 이와 함께 전체적인 일정을 수립해 장기적인 계획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 ...
인간이 만든 가장 비열한 무기, 지뢰
KISTI
l
2015.09.15
1980년 10월 10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UN 군비축소회의는 특정 재래식 무기의 사용을 금지하는 조약을 체결했다. 여기에는 누구든 건드리기만 하면 피해를 입는 ...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고 신체를 다쳐야 비극이 끝날 것인가. 세계적인 관심과 지
속
적인 노력 없이는 불가능하다.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서로 맞물려 일어났다고 가정했다. 그러나 세디바와 날레디, 그리고 몇몇 초기 호모
속
화석의 발견은 이런 특징들이 개별적으로 진화했음을 시사하고 있다. 즉 인류의 진화는 단일 계통이 아니라 다계통(polyphlyetic)일 가능성이 크다는 말이다. 뜨는 별 동굴에서 발견된 날레디 화석 1550점은 두 차례 ... ...
야생 침팬지의 냉장고를 부탁해
KISTI
l
2015.09.01
90% 이상의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다. 생식을 고집하면 낮은 소화 흡수율로 인해 체중이 계
속
감소하며 결국에는 번식이 불가능할 정도로 신체 조건이 나빠진다. 불을 이용해서 요리를 하는 것은 여러 장점을 준다. 첫째로는 소화가 쉬운 상태로 식재료가 변화하면서 더 많은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어 ... ...
호킹 “물체 정보는 ‘사건의 지평선’에 저장”
2015.08.26
지평선(event horizon)’에 저장된다”고 말했다고 가디언 등 외신이 보도했다. 블랙홀
속
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시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과거 호킹은 블랙홀이 서서히 입자를 방출하다 결국 증발해버리고 이때 블랙홀이 빨아들인 물질의 정보는 나오지 못한 채 블랙홀과 함께 ... ...
[만화] 오~ 진실이시여! 리플리증후군
KISTI
l
2015.08.25
태연이 넌 정말 대단해!’라고 칭찬을 해달란 말이에요. 그럼 저도 아빠의 외모가 현실
속
에서도 매력만점이라고 말해 드릴게요. 헤헤. 이 정도면 완전 공정한 거래라고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만….” “태연이, 너!!” ... ...
한국도 인공광합성 연구로 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5.08.20
박현웅 교수 연구진이 태양광을 흡수해 전기를 생성하는 실리콘 반도체를 이용해 물
속
에 용해된 이산화탄소를 개미산으로 전환하는 데 성공해 2014년 8월호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 연구진은 p형 반도체 실리콘을 직경이 나노 크기인 원기둥 ... ...
합리적인 에너지 관리를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8.18
5.5km가 나온다면 82억 원 가량을 과징금으로 내야 한다. 높은 에너지 가격과 지구온난화
속
에서 에너지 절약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고 있다. 에너지를 절약하며 발생하는 지금의 작은 불편이 미래의 후손들에게 깨끗한 지구를 물려주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기사는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맥아당은 맥주에 많이 들어있는 당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떻게 아르헨티나의 숲
속
에 있는 야생 효모가 유럽으로 날아가 빵효모와 결합해 잡종을 만들어내게 된 걸까. 2011년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신대륙발견으로 대서양무역이 시작되면서 사카로미세스 유바야누스가 유럽으로 건너갔을 것으로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