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역사학
역사
뉴스
"
역사과학
"(으)로 총 2,186건 검색되었습니다.
부자동네 한 가운데 자리잡은 왕릉
동아사이언스
l
2013.06.23
헌인릉 - 이종호 박사 제공 서울 강남구 내곡동 대모산 남쪽 기슭에 자리잡은 헌인릉은 조선 제3대 왕인 태종과 왕비 원경왕후의 능인 헌릉과 제23대 순조와 왕비 순원왕후 인릉을 합쳐 이름 붙인 곳이다. 과거부터 서울시의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우거진 숲 속이 일품이며 헌릉에는 ... ...
제12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수상작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3.06.21
동아사이언스는 ‘제12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의 수상작을 발표했다. 지난 3월 22일부터 4월 22일까지 한 달간 국내외 초·중·고등학생들의 원고를 받아 진행된 이번 대회에는 과학논술과 과학독후감 두 부문에서 총 1만 6천여 점의 작품이 접수됐다. 초·증·고등부 대상에 ... ...
'이야기로 배우는 수학' 출간
동아일보
l
2013.06.18
[동아일보] 올해부터 초중학교에 스토리텔링수학이 도입됐지만 아직 교육현장에 제대로 적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개념에 대한 이해는 충분하지만 실제로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방법을 찾은 교사나 학생은 많지 않기 때문이다. 동아일보 교육법인 ㈜동아이지에듀는 이런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 ...
총명한 세자, 어머니의 영향으로 결국…
동아사이언스
l
2013.06.17
의릉의 배치도. 쌍릉이지만 좌우배치가 아닌 전후능설이라는 것이 독특하다. - 이종호 박사 제공 의릉(懿陵)은 제 20대 경종(1720∼1724)과 계비 선의왕후(1705~1730) 어씨의 능(陵)으로 서울시 성북구 석관동에 있다. 경종은 숙종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한국사에서 큰 파란을 일으킨 여인으로 꼽히는 ... ...
창조경제를 위해서는 SF를 許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3.06.16
아이작 아시모프 - 네이버 제공 아이작 아시모프(1920~1992)는 SF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음직한 이름이다. 러시아 태생의 대표적인 과학대중화 저술가이자 SF작가로, 미국 컬럼비아대에서 화학과 생화학을 전공해 박사 학위를 받은 정통 과학자 출신이다. 특히 ... ...
죽어서도 나란히 누워있는 왕과 왕비
동아사이언스
l
2013.06.16
강릉의 문무인석 - 이종호 박사 제공 강릉은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마련한 쌍봉릉이며, 두 릉 모두 병풍석을 둘렀고 12칸의 난간석으로 연결되었다. 봉분의 봉토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인석(引石)에 화문(花紋)을 장식한 것이 이색적이다. 대체로 태릉과 마찬가지로 설 ... ...
치타의 사냥 실력은 '빠른 발' 때문? '아니죠~'
동아사이언스
l
2013.06.16
이번주 ‘네이처’는 초원 위를 질주하는 치타의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치타는 포유류 중 단거리를 가장 빠른 속도로 달린다. 지금까지 알려진 최고 속도는 초속 29m(시속 104km). ‘인간 탄환’ 우사인 볼트도 초속 12m(시속 43km)에 불과하단 사실을 감안하면 어마어마한 속도인 셈이다. 치타가 ... ...
퉁구스카 사건의 진실 밝혀졌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6.14
북서쪽 하늘에서 불타는 듯한 기둥이 창 형태로 나타났다. 불기둥이 사라졌을 때 갑작스럽게 대포소리처럼 큰 소리가 5차례 잇따라 들렸다. 땅이 심하게 흔들렸고 여러 집에서 창유리가 깨졌다. 사람이 넘어질 정도로 강력한 바람이 불었고, 어떤 농부는 넘어지지 않으려고 쟁기를 꽉 쥐고 있어야 ... ...
과학본능! 싸이팝연구소 [제4편]
동아사이언스
l
2013.06.12
그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다. 무심코 듣던 팝송에 이렇게 많은 과학이!? 그래서 뭉쳤다! 수능 영어의 전설! 김.찬.휘. 그리고 10만 독자를 자랑하는 어린이과학동아 편집장! 김.원.섭. 얄팍한 과학본능으로 썰을 푸는 두 아저씨의 유쾌한 팝송 이야기! 이제 싸이팝연구소에서 만 ... ...
[신나는 공부]학년별 필독서 읽으며 독서올림피아드 준비하세요!
동아일보
l
2013.06.11
[동아일보] 전국 독서올림피아드 올해는 교육과정에 적지 않은 변화가 생겼다. 초등 1, 2학년이 통합교과서를 사용하고 진로와 적성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자유학기제를 시범 도입한 것. 이 같은 변화가 진행될수록 독서의 중요성은 갈수록 강조된다. 통합교과서 사용으로 교과목간 연계가 강화되면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