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직업
중독
애용
뉴스
"
상용
"(으)로 총 3,373건 검색되었습니다.
‘터널’과 ‘고가도로’ 설치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고체전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수 있는 것과 같다. 사진제공 UNIST 이 교수는 “전고체전지를 포함한 차세대 배터리의
상용
화에 꼭 필요한 ‘고성능 고체 전해질’ 개발의 발판을 마련했다”며 “폭발 위험이 있는 유기용매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 리튬 이온만 선택적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전고체 배터리의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김용석·신호철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감지기 기반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개발해 출입보안 및 근태관리용 얼굴인식시스템을
상용
화한 공로로 수상자로 선정됐다. 관련 제품은 중국이 가장 앞서있지만 중국 제품은 1만 럭스(Lux) 이하의 낮은 조도에서만 작동해 실외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오인증률도 높았다. 신 수석연구원은 적외선 ... ...
헬스케어 서비스 꺼리는 노인, 이유는 “건강정보 수집·공유”
동아사이언스
l
2019.04.07
KAIST 연구책임자인 최 교수는 “개인 건강정보는 유형과 내용이 매우 다양하지만, 현재
상용
화된 헬스케어 기기 및 관련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개인 건강정보 전체를 공유할지 말지에 대한 선택을 강제하는 경향이 있다”며 “노인에게 정보를 어느 범위까지 공유할지를 선택하게 하는 등 통제권을 ... ...
허울좋은 5G 최초
상용
화…상상이 현실 되기엔 너무 먼 5G
동아사이언스
l
2019.04.04
이뤄지는 5G 기반 서비스도 5G가 요체는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구글의 웨이모는 5G
상용
화와 관계없이 지난해 12월부터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를 운행중이다. 교통신호 데이터를 지연시간 없이 주고받아 스스로 주행할 수 있는 커넥티드카 서비스에 5G가 고려되고 있다. ... ...
유영민 장관 "정보통신 최강국 입증…5G 강국 향해 갈 것"
연합뉴스
l
2019.04.04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오는 8일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세계 최초 5G
상용
화의 의미를 새기고 5G 기반의 융합서비스를 시연하는 행사를 연다. 이 행사에서는 글로벌 5G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산업전략인 '5G+(플러스) 전략'을 발표한다. 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 ... ...
박원석 원자력연구원장 “사용후핵연료 연구할 제3의 장소 찾겠다”…일부 연구기능 이전 시사
동아사이언스
l
2019.04.03
경제적으로 생산하는 방안을 연구하다가 만든 게 고온가스로”라며 “고온가스로를
상용
화하기 위해서는 고온에 견디는 재료가 필요한데 이 부분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라고 밝혔다. 융합연구와 방사선 연구도 강화할 뜻을 내비쳤다. 박 원장은 “연구원 내 상당수의 센서들에서 나오는 ... ...
“소재 연구 벽 허물자” 소재 연구기관 협의회 출범
동아사이언스
l
2019.04.03
허문 협력 방안의 필요성과 방법이 논의됐다. 과기정통부는 “소재는 연구개발부터
상용
화까지 20년 이상 긴 기간이 소요되며 실패확률이 높은 반면, 제품이나 부품의 성능과 부가가치를 좌우해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며 “정부는 지난해 4월 발표한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 등 ... ...
한민구 과기한림원장 “지식재산권,병역특례 문제 집중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1억 원의 소득을 올리면 발명자에게 3000만 원이 들어오는데 이런 식이면 기술이전이든
상용
화든 누가 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한 원장은 “적어도 산학협력단이 가져간 부분 외의 부분에 대해 근로소득이 아닌 기타소득 등을 적용 받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일견 과학기술인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냉매 안 쓰는 냉장고·에어컨 시대 열리나
2019.04.02
적용할 수 있다는 말이다. 다만 NPG 분자로 만든 유연한 결정을 쓴 냉각장치를
상용
화하기는 어렵다. 녹는점이 높지 않고 결정이 약해 압력을 넣고 빼는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뭉개지기 때문이다. 유연한 결정이 고체 냉각 시스템에 쓰일 수 있음을 보인 게 이번 연구의 성과라는 말이다. 이런 ... ...
UNIST 연구진, 고효율 '탠덤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1
반도체로 탠덤 태양전지를 만들었다. 하지만 비싼 재료와 공정 장비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용
화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제조 단가가 가장 낮은 실리콘 태양전지와 고효율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동시에 사용해 21.19%의 효율을 얻으며 세계 최고 기록 확보에 성공했다.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