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서
상하
d라이브러리
"
위아래
"(으)로 총 3,363건 검색되었습니다.
2. 모든 TV는 디지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개발이 끝났고 80인치 제품도 이미 출시돼 있다.작은 화면에서는 LCD가 유리하다. LCD는
위아래
유리에 전극을 만들고 그 사이에 액정만 주입하면 되기 때문에 1인치 모바일 TV부터 대형 TV까지 모두 구현할 수 있다. 영상의 빠르기와 생동감에서는 PDP가 우수하지만, 소비전력에서는 LCD가 앞선다.이런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인류를 신비로운 바다 속으로 빠져들게 만드는 소설 ‘해저2만리’. 노틸러스호라는 잠수함을 타고 세계 바다 속을 누비는 네모 선장과 심해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있는 아로낙스 박사는 해양과학자에게 동경의 대상이다.지금으로부터 136년 전인 1870년에 완성된 ‘해저 2만리’의 내용은 과학적으 ... ...
목숨 살리는 '생명 빨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개발도상국에서는 6명당 1명 꼴로 오염된 물을 마시고, 이로 인해 수인성 전염병에 걸린다.이질이나 설사로 죽는 사람만 매일 6000명에 이른다.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 '생명 빨대'가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패킷인 작은 덩어리로 쪼개서 송수 ... ...
태권V 지하기지냐, 수중기지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지상까지 끌어올리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도르래에 쇠사슬을 감았다 풀었다 해
위아래
로 옮기는 기계(권양장비)나 유압식 승강바닥판을 사용하면 된다.이 경우 지하 깊이가 최고 2배 정도 깊어지는 게 문제다. 그래서 경사를 이용해 케이블로 끌어올리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아니면 절반 정도 ... ...
미래형 '헬리플레인' 영국 판보로 에어쇼에 오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헬리콥터와 비행기의 장점을 합친 새로운 형태의 항공기가 등장했다. 미군의 'V-22 오스프레이'는 헬리콥터처럼 수직 이착륙을 하며 동시에 비행기처럼 수평 비행도 하는 세계 최초의 틸트-로터 항공기다. 최근 2006년 영국 판보로 에어쇼에 참가하기 위해 처음으로 대서양을 횡단했다. 지구형행성, ... ...
강철기둥 엘리베이터 타는 마징가Z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2003년1월 일본 마에다건설에 ‘마징가Z 지하기지를 지어 달라’라는 요청이 들어왔다. “무쇠팔 무쇠다리…”라는 흥겨운 주제가와 함께 쏟아지는 물을 가르며 솟아오르는 마징가Z의 지하기지, 구체적으로는 지하 격납고를 만들어 달라는 요청이었다.이 프로젝트를 위해 결성된 판타지영업부 직원 ... ...
용암이 솟아 만든 용두암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제주시 북쪽에 있는 용연(龍淵)에서 서쪽으로 200m 떨어진 바닷가에는 고개를 치켜들고 막 솟아오를 듯이 꿈틀대는 용 한 마리가 있다.옥구슬을 훔쳐 달아나던 용이 한라산 신령이 쏜 화살에 쓰러졌다. 땅으로 떨어진 용은 몸만 바닷속에 잠긴 채 머리는 하늘을 향해 굳었다는데 그 용머리가 지금의 ... ...
일본은 언제 가라앉을까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지난 5월 29일 일본 도쿄에 있는 한 영화관으로 소방차와 사다리차가 출동했다. 하지만 치솟는 불길과 시커먼 연기는 어디에도 찾아 볼 수 없었다. 대형 화재가 일어난 것도 아닌데 무슨 일일까.도심을 삼켜버릴 듯한 불길은 영화관 스크린 속에서 일어났다. 대지진이 일어나고 화산이 분출해 결국 ... ...
위장 다스려 건강한 여름나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바야흐로 1년 중 가장 덥다는 초복·중복·말복이 다가오고 있다. 이런 삼복(三伏) 더위에는 입맛이 떨어지고 배탈이 나는 사람이 많다. 이때 삼계탕이나 보신탕을 먹고 기운을 차리기도 한다. 그런데 닭고기와 인삼, 개고기는 모두 양기를 북돋는 음식, 즉 우리 몸을 덥게 만든다고 알려진 것들이다. ... ...
야광구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해뜨기 전이나 해진 뒤에만 볼 수 있는 신비한 구름이 있다. 상공 80km 높이에 떠있는 이 구름은 밤에 은빛이나 푸른빛을 내 ‘야광구름’이라 불린다.야광구름은 1885년 극지방 상공에서 처음 관측된 뒤로 매년 커져 최근 위도 40도 아래까지 퍼진 상태다.지난 5월 26일 ‘뉴사이언티스트’는 미국 항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