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공포의 대상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밝은 면과 그늘진 면을 동시에 갖고 있다고 하죠? 이 시대도 마찬가지였어요. 근대화로
우리나라
경제가 많이 성장하긴 했지만, 잘사는 사람과 그렇지않은 사람 간의 빈부격차가 아주 커졌거든요. 그러면서 돈이 계급이 되는 사회가 돼버렸죠. 나 같은 피지배층은 지배층에 대한 불만이 가득했어요. ... ...
PART3. 어떤 관객을 공략해야 하는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공포영화를 만들 때 19세 관람가로 지정할 경우 상당수의 관객을 놓치게 된다. 실제로
우리나라
공포영화 중 유일하게 300만 관객을 넘긴 ‘장화,홍련’은 12세 관람가다. 170만 관객을 모은 ‘여고괴담 세 번째 이야기: 여우계단’ 역시 12세 관람가였으며, 100만 관객이 본 ‘베스트셀러’는 15세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광복 이후에도 선택이나 심의 과정 없이 그대로 조선의 전문용어로 채택됐다. 당시
우리나라
지식계급 대부분이 한자에 대한 소양이 풍부했던 것도 일본어 한자 용어가 우리말 전문 용어로 자리 잡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그러다 1945년 남북이 갈라지고 1950년 전쟁이 일어나면서 남북은 각기 다른 말 ... ...
[핫이슈] 폭염은 재난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전국적으로 폭염이 극심해지면 총리가 4단계를 발령하고 직접 재난관리에 나선다.
우리나라
에는 40℃ 이상 고온이 10일 이상 지속되는 등 극한 폭염상황이 닥쳤을 때에도 딱히 대처매뉴얼이 없다. 1994년처럼 극한 폭염이 닥치면 속수무책이다.1994년 당시 90명 이상이 열사병으로 죽었는데, 이것도 ... ...
“ 해상 안전의 첫 걸음은 바다를 이해하는 것”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다 포함하죠.
우리나라
는 석유가 안 나오니 이런 설계를 해볼 기회가 없어요. 그럼에도
우리나라
조선산업이 유명한 이유는 물 위의 구조물을 만드는 기술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선박을 포함해서요. 과거부터 현재까지 새로운 기술을 먼저 수용하고 연구하는 자세가 지금의 한국 조선산업을 ... ...
임미희 자연과학부 교수 - 알츠하이머 고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사회가 돼야 연구도, 치료제 개발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어요.
우리나라
가 그렇게 변한다면 알츠하이머 치료를 선도하는 나라가 될 겁니다 ...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발굴선으로 290t 급의 대형선박이다. 누리안호에서 발굴하고 있는 ‘마도4호선’은
우리나라
에서 발굴된 첫 조선시대 고선박이다. 고대 문헌으로만 존재했던 조선시대 생활상을 실제로 확인할 수 있는 값진 기회다.“팀장님~, 라이트 확인 좀 해주세요!” 8시 20분, 전문 잠수사들이 잠수를 준비하기 ... ...
좋은 맛 똑똑한 맛 ➍ 나트륨 줄이기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섭취는 줄일 수 있다. 핀란드는 대체소금을 활용해 고혈압 환자를 줄이는 데 성공했다.
우리나라
도 수입한다.하지만 가장 좋은 건 적게 먹는 것이다. 좋다고 많이 쓰면 결국 더 많은 나트륨을 먹게 된다. 이 교수는 “일반 정제소금보다 나트륨 함량이 적은 천일염도 많이 먹으면 나트륨이 몸에 ... ...
[과학뉴스] 태양과 달이 사라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그래서 개기월식이 일어나면 달은 연한 빨간색으로 보인답니다. 이번에 일어난 월식은
우리나라
에서도 4월 4일 저녁 7시쯤부터 10시 40분 정도까지 3시간 30분 동안 관찰할 수 있었어요. 하지만 날씨가 흐려 제대로 보기 힘들었지요. 다음 개기월식은 2018년에 있을 예정이랍니다 ... ...
밤마다 그린라이트를 켜는 귀신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바로 브라질의 코코넛 숲 속에 사는 네오노토파누스 가드네리(Neonothopanus gardneri)이지요.
우리나라
에선 주로 ‘야광버섯’, ‘귀신버섯’이라고 불린답니다. 그동안 귀신버섯이 왜 밤에 빛을 내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어요. 그런데 최근 미국 가이젤의대 제이 던랩 교수팀은 귀신버섯이 내는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