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미
다소
느낌
부분
일부
소수
근소
d라이브러리
"
약간
"(으)로 총 2,522건 검색되었습니다.
32비트 PC 2종 발표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FDD)를 내장하고 있다.SPC-6010P는 성능은 386기종과 비슷하나 가격은 16비트 AT 기종보다
약간
비싸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386SX기종.인텔 80386SX-16을 채용하고 처리속도는 16㎒, 기억용량은 기본 2MB에 8MB까지 확장할 수 있다. 보조기억장치는 40~1백MB 용량의 HDD와 5.25인치 FDD 1대 ... ...
기린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가운데 부분에 골질(骨質)이 튀어 나온 전각(前角)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또 개체에 따라
약간
씩 다르지만 뒷 머리 쪽에 한쌍의 낮은뿔(後頭角)이 있다. 이 뿔들을 전부 갖춘 놈은 자그마치 뿔을 다섯개나 가진 셈이다.그런데 주각은 뿔이라고는 하지만 소의 뿔과는 근본적으로 그 생성과정이 다르다. ... ...
스모그로 소문난 「공해의 도시」런던 LA 서울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감소했다. 아황산가스는 1960년대는 일정하다가 1970년대에는 16%가 감소하고 그 이후에도
약간
씩 줄어 들었다. 특히 도시지역의 아황산가스의 농도는 극적으로 감소돼 1970년대 말에는 1960년대 초에 비해 50%가 격감했다.1960년부터 약 20년 동안 런던을 비롯한 대도시의 아황산가스와 입자상물질의 ... ...
PARTⅠ 뉴미디어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커뮤니케이션단계로 나누어 최근의 미디어발달과정을 세분하고 있다.학자에 따라
약간
씩 차이는 있지만 뉴미디어란 개념은 시대에 따라 계속 변해간다는 것이 일치된 견해다. 즉 19세기에 '최신' 미디어로 인식했던 전신 전화 전보 등은 20세기에 들어와 TV 라디오 컴퓨터 등에 밀려 그 자리를 ... ...
인공보석의 실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수정을 합성해 진동자 및 수정시계용 등 많은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무색 수정에
약간
의 원소를 첨가하면 첨가된 원소에 따라 자수정 연수정 시트린 등도 인공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제2차대전 이후 미국의 보석시장에 아름답고 긁힌자국이 없는 에메랄드가 선보여 많은 관심을 보였다. 이 ... ...
금년 노사협정의 쟁점 「유해위험작업」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를 기준치로 정해 놓고 있다. 노동부는 이 기준치에 국내에서 '예민한'조항은
약간
변형 시켰다. 가령 미국에서는 석면이 절대로 허용되지 않지만 국내에서는 소량 허용되고 소음도 미국의 85㏈보다 높은 90㏈을 허용한도로 잡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허용한도조차 생산현장에서는 무시되고 있는 ... ...
「삐삐」의 친구들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일상의 레저나 상업활동에 쓰이는 무선통신장치다. 일본에서는 아마추어 무선용 보다는
약간
성능이 높고 위성통신보다는 성능이 다소 낮은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이 무선통신은 매우 간단해서 햄(HAM)처럼 무선종사자에게 자격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 무선국의 허가도 쉽게 취득할 수 있고 ... ...
「X선 레이저 빔」 기술적 난관에 부딪쳐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85년 9월 이 프로젝트에서 빠져나온 로웰 모건 박사는 의회에 보낸 편지에서 "우리가 이룬
약간
이 결과들이 매우 잘못 전달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해 10월 실험담당자 로이 루드러프박사도 실험실을 떠났다.이 시기에 X선 레이저 개발은 기술적 문제에 부딪친 것으로 보인다. 첫째 빔의 ... ...
파충류의 세계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심장은 2심방 1심실이고 심실에는 불완전한 격막이 있다. 그러나 악어류의 심장은
약간
다르다. 완전한 격막에 의해 분리돼(2심실로) 있는 것이다.피부에는 지방샘이나 땀샘이 거의 없다. 하지만 카멜레온은 피부에 색소세포를 갖고 있어 자유롭게 변색을 한다.파충류는 척추골이 특히 많다. 또 ... ...
형상을 기억하는 「물 저장고」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게다가 종래의 흡수재료는 섬유 사이의 모세관현상에 의한 물리적 흡수이기 때문에
약간
의 압력만 받아도 흡수된 물이 방출된다.고흡수성고분자는 화학적 결합에 의한 흡수이므로 일단 흡수된 물은 압력을 받아도 거의 방출하지 않는, 높은 보수력을 갖는다.우리는 간단히 고흡수성고분자의 높은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