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래의 드론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연구실 탐방을 마친 강민재 친구는 “평소에 보지 못했던 다양한 드론을 직접
볼
수 있어서 무척 좋았다”며, “드론을 타고 이곳저곳을 날아다닐 수 있는 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유니스트에서 드론을 주제로 정말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죠? 사람을 태우고 하늘을 ... ...
[식물 속 동물 찾기] 후두둑, 비듬을 닮았다?! 꿩의비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사투리인 ‘비름’이란 단어를 이름에 붙였지요. 꿩의비름은 실내 화분에서도 흔히
볼
수 있어요. 잎이나 줄기에 수분을 많이 저장하는 다육식물인데다가 꽃이 예뻐서 관상용으로 기르기 쉽거든요. 주로 ‘불로초’라는 상품명으로 많이 팔리고 있지요. 하지만 관상용으로 기르는 것들은 대부분 ... ...
Part 1. 작지만 강한 큐브샛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화성에 보낸 뒤, 지구에서 챙겨간 공기와 물을 이용해 2주 동안 애기장대 씨앗을 키워
볼
예정이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음료수 캔이 인공위성이 된다?! 큐브샛Part 1. 작지만 강한 큐브샛Part 2. [활약1] 뭉치면 강하다!Part 3. [활약2] 지구를 넘어 화성까지!Part 4. [활약3] ... ...
[과학뉴스] 투명한 태양 전지판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코팅했어요. 이 물질은 적외선과 자외선 파장만을 모아서 전기로 바꾸지요. 사람이
볼
수 있는 가시광선은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투명하게 보인답니다. 투명한 태양 전지판은 앞으로 쓰임새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요. 우선 유리창에 붙이면 창문 너머의 풍경을 보면서 에너지도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들으며 3D 프린터를 사용하는 모습을 가까이에서 지켜봤어요. 3D 펜을 사용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지요. 3D 프린터나 3D 펜은 글루건과 원리가 비슷해요. 플라스틱이 300℃ 가까이 되는 열을 받아 녹은 뒤, 프린터나 펜 촉을 지나며 빠르게 굳는 거예요. 그러면 원하는 모양의 입체적인 물건을 만들어낼 ... ...
Part 2. 혼합현실을 만나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만나는 방법 ➋홀로렌즈를 써라! 카메라를 이용하지 않고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 혼합현실 기기도 있어. 바로 ‘홀로렌즈’지. 홀로렌즈를 쓰면 가상현실이 더욱 진짜처럼 느껴진단다. 맨 손으로 마인크래프트를 짓는다?!“세상을 만들어 줘(Create World)!”지난 2015년, 마이크로소프트는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보물을 향해 어둠 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빛이 방출되거든요. 이때 자외선 빛을 쪼이면 루미놀에서 나오는 빛을 더 뚜렷하게
볼
수 있답니다. 즉, 범인의 옷이 루미놀과 반응해서 빛이 나는 현상은 범인의 옷에 피가 묻어 있다는 증거가 돼요. 그런데 왜 피 속에 철 원자가 있는 걸까요? 피 속에는 적혈구와 백혈구, 혈소판 등 다양한 ... ...
Part 1. 더욱 진짜 같은 가상현실이 온다! 혼합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게 단점이지요. ●HMD :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약자. 안경처럼 머리에 쓰고 영상을
볼
수 있는 기기. 그뒤 증강현실(AR) 기술이 등장했어요. AR은 현실세계 위에 가상의 물체를 겹쳐서 보여 주며 VR의 단점을 보완했죠. 모바일 게임 ‘포켓몬고’를 생각하면 쉬워요. 실제로 여러분이 서 있는 교실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0호
그가 만든 현미경은 훅이 만든 것보다 성능이 좋아서 사물을 10배 더 자세하게
볼
수 있었지요.어느 날 그는 현미경으로 물을 관찰하다가 눈에 보이지 않지만 꿈틀대는 생명체들이 수없이 많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최초로 미생물을 발견한 순간이었답니다.레벤후크는 현미경에서 관찰한 ... ...
Part 2. 똥냄새도 전략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0호
“고약한 냄새는 씨앗을 퍼뜨리기 위해 일부 동물들이 좋아하게끔 진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동물에게 먹히지 않기 위한 ‘보호 전략’으로 보는 시각도 있어요. 은행나무 입장에서는 열매가 제대로 익은 다음, 종자를 멀리 퍼뜨릴 수 있는 동물이 열매를 먹는 게 유리하거든요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