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d라이브러리
"
반
"(으)로 총 2,507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브라의 새사냥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부족한 염분을 보충하는 방법이기도 하다.(6) ③ 상대를 위협할 때 목을 세우는 뱀을 일
반
적으로 코브라라고 한다. 코브라는 인도를 비롯해서 말레이지아 필리핀 그리고 아프리카 대륙 등지에 퍼져 있다. 그들이 먹이를 잡을 때는 몸의 대부분을 풀속에 숨기고 꼬리만 밖으로 꺼내 살살 흔든다. ... ...
12월21일 월식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카메라가 고정돼 있으므로 처음 한쪽 모서리에서 시작해도 어느 시간이 지나면 달은
반
대쪽 모서리로 진행해 시야를 벗어나게 되는데, 이 기간 동안이 연속촬영 시간이 된다. 달은 1시간에 약 14.6°정도씩 이동하므로 촬영가능시각은 (표2)와 같다. 한 필름에 연속적인 변화를 전부 촬영해야하므로 ... ...
(1) 2차원 평면에 살아움직이는 실물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같은 원리로 빛의 에너지가 추가간섭을 일으키면 더욱 강한 빛의 에너지로 노출된다.
반
대로 빛의 에너지가 상쇄간섭 현상을 일으키면 전체 에너지가 약해져서 사진건판 위에 약하게 노출된다. 결국 이러한 추가간섭과 상쇄간섭 무늬를 정착과정을 통해서 필름에 담는 것이다. 이 무늬판에 다시 ... ...
1. 핵무기와 원자로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원자탄과 원자로의
반
응원리와 원자로의 궁극적인 안전에 대해서 논의했다. 이제는 약
반
세기 동안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무기로 또 현대문명에 없어서는 안될 에너지원으로 존재해 왔던 원자력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내려야 할 때다. 탱크나 쟁기를 모두 쇠로 만들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 ...
일
반
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빠뜨렸다. 1세기 동안 타원궤도에서 43″의 차가 났다. 이를 해결한 것이 아인슈타인. 일
반
상대성이론은 이 현상을 예측했고 실제 관찰 결과 정확히 검증됐다.사건지평선시간이 무한히 경과해도 영원히 볼 수 없는 영역의 경계면. 이 지평면을 통해 물체와 빚은 경계면 저쪽으로 갈 수 있지만 ... ...
세월따라 다양한 모습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비슷하며 태양계의 위성중 유일하게 대기를 가지고 있다.수성 금성은 그 표면이 두껍고
반
사율이 높은 대기에 가려 볼 수 없으므로 주로 위치관측과 위상관측이 이루어진다. 위치관측이란 좌표적인 기준을 정해 이동을 관측하는 것을 말한다. 방법은 두가지다. 첫째는 별자리를 기준으로 한다.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주식 가운데서 쌀만큼 영양적으로 완비된 것도 없다. 따라서 쌀밥과 아울러 여러가지
반
찬을 먹고 그것을 잘 소화시킨다면 그것만으로도 건강대책은 완벽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별도의 건강식은 필요없는 것이라고 단언할 수 있다 ... ...
멸종 위기에 놓인 거대참치 블루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즉 1981년부터 실시된 쿼터제로 인해 82년에는 수령 6,7세의 블루핀이 1970년 수준의 절
반
가까이까지 늘어났다는 것이었다.현재 멸종위기의 희귀야생동식물보호법(CITES)은 국회에 계류중이다. 최근에 블루핀 수가 늘어나고 있다는 수산업자들의 주장에 동조하는 의원들도 일부는 있다. 그러나 이 ... ...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있는데, 현재의 고기후학과 지사학의 연구성과를 보면 고생대와 중생대의 기후가 일
반
적으로 현재보다 훨씬 온난하고 사람이 살기에 적당한 환경이었음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아마도 대홍수가 있기 이전의 지구환경은 현대 지사학에서 말하는 중생대 말기 이전과 흡사했을 것이다. 석유 석탄의 ... ...
2. 사람간의 대화처럼 자연스럽게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상대방의
반
응 및 테니스장의 상황이 실시간 화면으로 보여지게 된다. 프로선수 이
반
렌들을 초청하여 시범경기(?)를 갖기도 했다.3차원 공간상에서 손과 몸동작을 카메라로 인식하는 것은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니다. 인식을 쉽게 하기 위해 여러가지 장치와 방법이 고안되었다. 즉 배경을 단순하게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