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왜 포항에서 지열발전을 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정도의 열을 얻을 수 있거든요. 현재 프랑스 솔츠, 독일 란다우, 스위스 바젤 등에서 이 기술을 활용하고 있답니다. 우리나라 포항에서도 이런 EGS를 이용하는 지열발전소를 시험 운행 중이었어요. 포항 지역의 지하 3~5km 깊이에 뜨거운 화강암 층이 있기 때문이지요. 2012년 말부터 지어진 포항 EGS ... ...
- [GO!GO!고고학자]난파선은 어떤 비밀을 품고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976년, 전라남도 신안군 앞바다에 가라앉은 난파선을 발굴하면서 시작되었어요. 초기에는 기술과 장비가 부족해 해군 잠수사의 도움을 빌려야 했지만, 지금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 아시아 최대의 수중문화재 발굴선 ‘누리안호’가 있어서 걱정이 없답니다. 2012년에 취항한 누리안호에는 20여 ... ...
- [에디터노트] 모기와의 전쟁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퇴치를 위해 모기와의 전쟁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여기에는 첨단 유전자 교정 기술이 활용된다. 일단 모기 중에서도 인간의 피를 빠는 암컷이 알을 낳지 못하도록 알 껍질 형성을 방해했다. 모기가 번식하지 못하도록 ‘불임 유전자’도 주입했다. 성을 결정하는 유전자를 교정해 수컷을 불임이 ... ...
- 수학으로 무장한 조선의 천문학자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이례적으로 종삼품의 벼슬에 올랐습니다.세종실록에 따르면 세종 때 천문관측을 맡았던 기술직 관리는 ‘10차 방정식’도 풀만큼 실력이 출중했다고 기록돼 있습니다. 당시 천문학자들은 1년의 길이가 365.2425일, 1달의 길이가 29.530593일라는 것까지 정교하게 계산했을 정도였지요. 데이터의 ... ...
- [SW 진로 체험] 수학 사랑꾼, SW 개발자로 거듭나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도움이 됐어요. 비전공자 개발자로서 현실적인 조언을 해주신다면?수학이 소프트웨어 기술에 도움이 되는 것은 맞아요. 하지만 그게 다는 아니에요. 수학을 전공하고 SW 계열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이 있다면 스스로 노력할 의지가 있어야 한다고 말해주고 싶어요. 짧게 잡아도 대학 4년, 석사 2년까지 ... ...
- [과학뉴스] 만성스트레스가 뇌신경질환 유발? 핵심 유전자 첫 확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인한 뇌질환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한 발 더 다가섰다. 유성운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팀은 만성스트레스로 인한 해마 신경줄기세포의 사멸이 자가포식(auto phagy) 때문이라는 사실을 규명하고 국제학술지 ‘오토파지’ 6월 24일자에 발표했다. 자가포식이란 불필요하거나 ... ...
- 박휘이따고훼서 곡종헸는대? 맞춤법 틀린데 해석이 되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실험을 진행했다. ‘토종’ 한국인만 읽어낼까? 직접 실험해보니최원일 광주과학기술원(GIST) 기초교육학부 교수의 자문을 받아 각각 네 문장으로 이뤄진 두 종류의 구문을 만들었다. 하나는 된소리, 숫자, 영어 등이 섞인 숙박 후기를 그대로 썼다(아래 사진 1). 다른 하나는 음절교환효과를 ... ...
- 한국에서 가장 흔한 빨간집모기의 항변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찾을 수 있다. 최근 인간들의 과학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우리를 아예 박멸시킬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다고 한다. 이곳 사육실도 박멸까지는 아니지만, 우리가 옮기는 질병을 자세히 알아내기 위해 우리를 사육하고 있다. 우리는 병원체가 섞인 피를 빨고 나면 그 병원체를 다른 동물에게 ...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보장되지 않는 문제 등을 이유로 강하게 저항해왔다. 마리암 마예트 ACB 총재는 “GM 모기 기술은 초기 단계에 불과하며 인체와 환경에 대한 장기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밝혀진 바 없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한 타깃 말라리아의 고민은 GM 모기 첫 방사를 맞아 홈페이지에 게재한 ... ...
- 영화 '커런트 워' 에디슨의 직류 vs. 테슬라의 교류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다시금 대두되고 있다. 교류가 전류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결정적인 이유는 변압 기술이 부족했던 직류에 비해 유연하게 전압을 바꿀 수 있었기 때문이다. 같은 거리를 송전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이론적으로 교류 방식이 직류 방식에 비해 송전 효율이 떨어진다. 전류가 100이 필요하다고 할 ... ...
이전2072082092102112122132142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