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스페셜
"
연구원
"(으)로 총 4,35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빅데이터 분석기사’ 자격검정 접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한양대), 최예진(충남대) 씨 팀이 선정됐다.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ETRI)은 정부출연
연구원
최초로 오픈소스를 통해 연구개발(R&D)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테크데이'를 24일 온라인(eostday.kr)으로 개최한다. 오픈소스 관련 주요 이슈와 현황을 공유하고, ETRI 오픈소스 R&D 결과 공유하기 위한 행사다. ... ...
수능 가림막 높을수록 바이러스 차단 효과 크지만…어디까지나 '방역 보조수단'
동아사이언스
l
2020.11.23
가림막 위나 옆으로 퍼져나갈 수 있다. 칼레드 탈라트 미국 뉴멕시코대 원자력공학부
연구원
팀은 책상 앞에 놓인 가림막이 에어로졸 전달률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고 지난달 20일 국제학술지 ‘유체물리학’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공기의 흐름을 분석한 결과 ... ...
[팩트체크]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한반도 언제 도달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1.23
방사성 원소의 한반도 해역 도달 시점과 농도를 예상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책임
연구원
을 지낸 정 소장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중국 원전 사고 등 만약의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 KIOST에서 오랫동안 해수 모델링 연구를 진행해왔다. 현재는 KIOST 자문위원이다. ●‘한 달’ ‘22 ... ...
“5~8월 중순 ‘깜깜이 코로나 환자’가 확진자보다 일평균 6.2배”
동아사이언스
l
2020.11.22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 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연구원
은 또 특정 장소나 이벤트 관련 집단감염에 대해 “어떤 특정 장소에서 전파가 이뤄졌는지를 찾아내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라며 “장소를 특정하는 것은 유의미한 작업이긴 하지만 그것만이 ... ...
"미국 코로나19 주요 진원지는 육류가공공장" 7월까지 31만명 감염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찰스 테일러 미국 컬럼비아대 국제대학원
연구원
팀은 시카고대와 공동으로 미국 내 육류가공공장과 7월까지 발생한 코로나19 환자 사이의 연관성을 연구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19일 공개했다. 연구팀은 ... ...
김빛내리 교수, 코로나바이러스 성장 단백질 연구 공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2019년에 진행됐던 KOLIS 연례 콘퍼런스. KOLIS 홈페이지 제공. 미국 샌프란시스코만 지역 대학인 스탠퍼드대와 버클리캘리포니아대(UC버클리)·샌프란시스코캘리포 ... 콘퍼런스를 준비했다”고 밝혔다. KOLIS는 현재 200여명의 회원을 두고 있으며 약 절반 회원은 박사후
연구원
(포스트닥터)이다 ... ...
한국핵융합에너지
연구원
·한국재료
연구원
20일 독립법인으로 새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위한 핵심기술 R&D로 무게중심을 옮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정환 초대 한국재료
연구원
원장은 “소재 전문 종합연구기관으로 뿌리내리겠다”며 “우리 미래는 첨단소재 기술력에 달려 있으며 최선을 다해 연구에 매진해 성과가 국민 삶의 질 개선으로 이어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
후쿠시마 오염 방출 분석 논문 보니 1~10년내 영향…전문가들 "방류영향 예측 어렵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따른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최석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환경방사능평가실 책임
연구원
은 “바닷물에 방출할 경우 오염수의 조건과 해양 내부의 염분 구조, 바람 세기 등 해양 조건을 정확하게 알아야 오염수의 확산을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한미 연구팀, 사람 피부처럼 온도와 힘 느끼는 인공피부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자유자재로 늘리거나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구 1저자인 유인상 포스텍 박사후
연구원
은 “이 전자피부가 온도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원리는 실제 인간 피부가 촉각을 인지하는 원리 중 하나일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전해질을 이용한 전자피부 연구의 포문을 ... ...
연료전지로 나는 항모 드론·천체관측기술 들어간 급조폭발물 탐지기 우리 손으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사용되는 고전압 전력 반도체 소자 기술이다. 박건식 ETRI 국방전력·센서모듈연구실 책임
연구원
은 “미사일 기폭장치에는 스파크를 일으키는 방식이 쓰였는데 이 기술은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해 순간적으로 빠르고 큰 전류를 흘려 화약을 터뜨리는 반도체 소자”라며 “향후 몇 년간 기술을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