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뉴스
"
화학
"(으)로 총 7,117건 검색되었습니다.
신한울 1호기 '발목' 잡는 수소제거장비..."불꽃 튀어도 화재 확률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데 사용하는 장비다. 안에 벽돌 형태의 다공성 세라믹에 백금 코팅된 촉매가 들어있어
화학
반응을 통해 수소를 제거한다. 실제로 본 중형급 PAR 장치는 가정용 공기청정기 사이즈에 위아래로 수소가 오갈 수 있는 환풍기의 모양새를 하고 있었다. 유 책임연구원은 "사고 시 원전 내 수소 농도를 4% ... ...
송경호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대한감염학회‧대한항균요법학회 ‘젊은 과학자상’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우수논문상은 지난 1년간 대한감염학회‧대한항균요법학회의 공식학회지 ‘감염과
화학
요법’에 게재된 논문 중 가장 우수하다고 평가된 논문에 수여된다. 연구팀은 국내 최대 진단검사 업체와의 연계 연구를 통해 신종 감염병 대응에서 수요를 즉각적으로 반영하고 과학적 방법론에 기반한 ... ...
60년 논란 종지부 찍을까…英 연구팀 "우울증과 세로토닌 연관성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2.11.06
증거를 찾은 것은 처음"이라며 "60년간 답하지 못했던 질문이었다"라고 말했다. 뇌의
화학
적 불균형이 우울증을 유발하는지에 대해서는 정신의학계에서 논란이 있다. 올해 7월 조안나 몬크리프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정신의학과 교수팀은 낮은 세로토닌 수치가 우울증의 원인이라는 ... ...
[과기원은 지금] KAIST, 팔라듐 백금 코어-쉘 나노입자 3차원 구조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코어-쉘 나노입자의 3차원 원자구조. KAIST 제공 ■ KAIST는 양용수 물리학과 교수, 한상우
화학
과 교수, 유승화 기계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팔라듐 백금 코어-쉘 나노입자의 3차원 계면구조와 특성을 규명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원자 분해능 전자토모그래피 기술을 이용해 ... ...
[과기원은 지금] UNIST, 귀금속 대체하는 탄소 기반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귀금속 촉매를 대신할 물질로 주목받았다. 최 교수는 탄소의 결함과 구조적 유연성에
화학
반응이 맞물리면 백금과 같은 귀금속 없이도 촉매 활성이 가능해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최 교수는 "귀금속이 포함되지 않은 탄소 기반 촉매의 효율성과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탄소 기반 촉매에 결함을 ... ...
녹고 있는 빙하를 다시 얼릴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고려대는 안동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팀이 김병수 연세대
화학
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얼음 성장을 조절할 수 있는 결빙제어 소재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1월 1일자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결빙제어 소재는 냉·해동 ... ...
버려지는 나무로 수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개발됐다. 포스텍은 김동표
화학
공학과 교수와 류정기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화학
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폐목을 수소와 바닐린으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바닐린은 식품이나 의약품 원료로 쓰이는 고부가가치 화합물이다. 수소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꼽힌다. 지구 표면의 7 ... ...
[과학게시판] 과학기술한림원, '2022 스웨덴-대한민국 노벨 메모리얼 프로그램'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대해 각각 정충원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채은미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이동환 서울대
화학
과 교수가 설명한다. 또 노벨경제학상의 주제였던 '금융 위기 때 은행의 역할'과 노벨문학상의 수상 공로였던 '개인적 기억을 드러낸 용기'에 대한 강연도 이어질 예정이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 ...
KIST 펠로우 제2호 연구자에 김인산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선정됐다. K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KIST 펠로우 제2호 연구자로 김인산
화학
생명융합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을 선정했다고 1일 밝혔다. KIST 펠로우는 탁월한 업적을 창출한 연구자에 기관 차원의 인정과 예우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해 4월 신설된 제도다. 김 책임연구원은 융합의학 연구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후 6시까지 먹는 시간제한 섭식이 좋은 이유
2022.11.01
원리다. 이때 열발생은 목적이 아니라 연료분자인 ATP가 소모될 때 나오는 ‘폐열’이다(
화학
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바뀌는 변환효율이 100%가 아니라는 말이다). 그런데 이와는 달리 열을 내는 게 목적인 열생성이 있다. 환경의 요구에 맞춰 일어나므로 적응 열발생(adaptive thermogenesis)이라고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