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뉴스
"
학자
"(으)로 총 4,013건 검색되었습니다.
뇌과
학자
-공
학자
머리 맞대고 인체 ‘블랙박스’ 뇌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7
다양한 뇌 측정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하나의 공간이나 기관에서 뇌과
학자
와 공
학자
가 협업하는 모델이 뇌공학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김우재의 보통과
학자
] 보이지 않는 기술자
2019.05.24
모발 성장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를 제거한 실험실 쥐와 일반적인 실험실 쥐. NHGRI 제공 대학원 시절, 인간유전체 프로젝트와 더불어 생쥐 유전 ... 다닌다. 과
학자
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
학자
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썼다 ... ...
"데이터도 꿰어야 보배" 기관 연구결과 모아 난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게 2012년 ‘신의 입자’로 불린 ‘힉스 입자’ 발견이다.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물리
학자
들은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실험에서 나오는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 힉스 입자의 존재를 검증했다. 국내에서도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시범적으로 개발해 운용하고 있는 ... ...
이민아 KIST 선임연구원, '와일리 젊은 연구자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환경 개선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 선임연구원은 “과
학자
로서 기술 개발을 통해 세상을 조금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고 싶은 바람이 있다”며 “저비용 고효율 에너지 저장 기술 발전에 연구가 보탬이 돼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 ...
한·덴마크 대학생들 제시한 그린 페인트통, 글로벌 도료회사 "쓸만하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이니셔티브다. 이번 대회도 P4G의 목적대로 미래세대를 이끌 한국과 덴마크의 젊은
학자
들이 학술적 교류를 통해 지속가능 개발 목표를 바탕으로 긍정적 외교관계를 이어가는 데 목적을 뒀다. 대회 심사위원을 맡은 김상협 KAIST 녹색성장대학원 교수는 “이번 행사는 기후변화에 직접 영향을 받게 될 ... ...
[이강운의 곤충記] 꽃가루 알레르기를 막는 방법
2019.05.22
Quercus spp.)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p187 ※ 필자소개 이강운 곤충
학자
서울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장, 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장이며 국립인천대 매개곤충 융복합센터 학술연구 교수를 맡고 있다. 과학동아에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 ...
[2019 ICAN]“공학과 과학이 만날 공간,젊은
학자
의 아이디어가 뇌공학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분야에 필요한 이유”라고 말했다. 그는 40대의 젊은
학자
로 아직 정교수가 아니다. 젊은
학자
가 하나의 분야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환경으로 독일 특유의 연구제도인 ‘그룹리더제’를 꼽았다. 그는 “그룹리더 제도를 통해 젊은 연구자도 팀원을 뽑아 독립적인 연구팀을 꾸리 수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밝혀질 수 있을까
2019.05.21
말고 스스로 탐구해 깨달음에 이르라는 것이다. 생명의 기원을 연구하고 있는 과
학자
들도 ‘게으름 없이 정진해’ 좀 더 심오한 발견을 해내길 바란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 ...
[2019 ICAN]“지금은 기술이 뇌 연구의 과학적 발전 이끄는 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등은 중요치 않다. 뇌질환의 원인을 밝히려 애쓰는 많은 신경과
학자
와 다른, 철저히 공
학자
다운 시선이다. “이런 연구가 결실을 맺으려면 먼저 뇌에서 오작동이 일어나는 곳을 알아내고 고쳐야 합니다. 문제는 지금까지는 이 곳을 측정하고 이해할 방법이 없었습니다. 당연히 뇌공학은 정체돼 ... ...
[주말N수학] 피자 도우에는 쌍곡기하학의 원리가 숨어있다
수학동아
l
2019.05.18
생각해왔습니다. 하지만 2019년 3월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미국물리학회’에서 수
학자
샨카 벤카타라마니는 주름진 곡면은 가우스 곡률이 음수인 쌍곡면의 한 형태이면서 아주 독특한 개별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발표했습니다. 쌍곡면의 대표적인 형태인 말 안장 곡면은 모든 점에서 미분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