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e
학구생활
뉴스
"
학계
"(으)로 총 2,6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체이면서 액체인 ‘초이온 물 얼음’
과학동아
l
2018.03.19
산소가 격자처럼 결정을 이룬 구조 위로 수소 이온이 물처럼 흘러 다니는 상태가 된다.
학계
에서는 온도와 압력이 높은 천왕성과 해왕성의 내부에 초이온 물 얼음이 있을 것으로 추정해왔다. 마리우스 밀로 미국 로렌스리버모어연구소 연구원팀은 초이온 물 얼음의 존재 가능성을 실험으로 처음 ... ...
빅뱅의 순간으로 시간여행, 우주 최초의 별을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3.17
크고 20배 이상 뜨거웠으며, 1000만배 이상 밝았을 것으로 계산됐다. 이는 약 15년 전까지
학계
에서 정설로 여겨졌다. 하지만 컴퓨터 해상도와 성능 개선으로 더 세밀한 환경을 조성해 시뮬레이션한 결과, 최근에는 가벼운 별도 충분히 생성될 수 있었을 것이란 견해가 힘을 얻고 있다. 안경진 ... ...
현생 인류, 이웃 종 데니소바인과 적어도 2번 교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6
연구 주제다. 그 중 하나가 현생 인류 크로마뇽인과 데니소바인의 관계다. 기존 인류
학계
에선 현생 인류인 크로마뇽인과 네안데르탈인은 서로 유전자를 여러 번 교류한 것으로 추정했다. 반면 데니소바인과는 유전적 접촉이 남서태평양 인근오세아니아 지역에서만 제한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 ...
별이 되어 떠난 스티븐 호킹…과학자들이 기억하는 그의 삶
2018.03.15
취득했고 1979년부터 2009년까지 케임브리지대 루커스 수학 석좌교수를 지냈다. 물리
학계
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기초물리학상’을 비롯해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어워드’ ‘코플리 메달’ 등 수많은 상을 받았지만 아쉽게도 노벨 물리학상은 받지 못했다. 호킹 박사는 한국과 인연이 깊지는 않은 ... ...
스티븐 호킹은 어떤 업적을 남겼나
2018.03.15
난제”라며 “호킹 복사는 맞고 틀리고를 떠나, 이 문제의 해결 가능성을 타진해 물리
학계
에 근원적이고 거대한 화두를 던졌다”고 말했다. 대중에게 천체물리학을 알린 공로도 빼놓을 수 없다. 1988년 출판한 ‘시간의 역사’는 전 세계에 1100만 부 이상 팔린 베스트셀러가 됐다. ‘호두껍질 속의 ... ...
시간과 우주 수수께끼 풀러...스티븐 호킹 박사 별로 떠나다
2018.03.14
줬다. 우리는 그를 영원히 그리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주론, 양자중력 등 물리
학계
를 선도해온 호킹은 뉴턴과 아인슈타인의 계보를 잇는 물리학자로 꼽힌다. 21세의 나이였던 1963년 전신근육이 서서히 마비되는 루게릭병(근위축성측삭경화증) 진단을 받았다. 당시 의료진은 얼마 버티지 못할 ... ...
[속보] 영국의 세계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취득했다. 1979년부터 2009년까지 케임브리지대 루커스 수학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물리
학계
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기초물리학상’을 비롯해 ‘알버트 아인슈타인 어워드’ ‘코플리 메달’ 등 수많은 상을 받았지만, 아쉽게도 노벨 물리학상을 받지는 못했다. 한편 그가 1988년 펴낸 ... ...
[성은 스펙트럼이다] ② 평창 올림픽에 없던 것
2018.03.13
해당 규칙은 부당하다고 판결했다. 즉, 테스토스테론이 경기력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학계
에서 충분히 증명하지 못했기 때문에 10 나노몰 규정은 합리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CAS는 IAAF에게 2017년 6월까지 10 나노몰 규정의 유의미한 증거를 가져오라고 했다. IAAF는 남성 호르몬이 높은 여성 운동 ... ...
슈퍼 화산 폭발로 인류 멸종할 뻔...당시 폭발 위력 증거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8.03.13
폭발해 분출물이 태양을 가리면서 지구 온도를 크게 낮춘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학계
에선 토바화산의 폭발로 전 지구에 추운 겨울이 찾아와 아프리카를 제외한 많은 지역에서 인류가 멸종 위기에 빠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활발하게 진행되던 인류의 대륙간 이동 역시 수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강력한 신념에 가려질 뻔한 네안데르탈인의 진실
2018.03.11
비로소 독일
학계
는 진화론을 제대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wikimedia(cc) 당시 독일 의
학계
를 대표하던 병리학자 루돌프 피르호는 ‘구루병’에 걸린 사람의 화석이라고 쏘아붙이고는 평생 그 주장을 꺾지 않았습니다. 정말 말도 안되는 주장입니다. 그의 평소 ‘진단’ 실력과도 걸맞지 않았지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