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저자"(으)로 총 2,2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책의 향기/글로벌 북 카페]아이를 망치고 싶다면 스마트폰을 던져줘라동아일보 l2014.01.12
- 죄책감마저 갖는 자녀들로 인해 ‘가족 관계의 기근’ 현상은 점점 심해지고 있다. 저자는 안전하고도 교양 있는 디지털 사용법을 자녀들에게 꾸준히 가르쳐야 하며 이는 사회에서의 성공과도 직결된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자녀들을 밖으로 내보내 친구들을 만나게 하기, 가족과 ... ...
- 역사를 바꾼 철도의 자기 고백동아사이언스 l2014.01.12
- 철도 이야기를 통해 근대에서 현대로 이어지는 인류의 문화와 역사를 소개하고 있다. 저자는 과학기술의 산물인 철도의 탄생과 발전 덕분에 인류의 삶이 예전보다 풍성해졌지만, 동시에 아픔의 역사도 양산된 만큼 항상 인간적 가치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최근 '철도민영화'와 관련해 ... ...
- 줄기세포 키우는 나노물질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4.01.07
- 가능한 인간엽줄기세포는 틀의 폭이 500nm~1650nm 정도일 때 가장 잘 자랐다. 논문 1저자인 서울대 김장호 연구원은 “나노지지체를 사용하면 기존 환경에서 줄기세포를 키울 때보다 원하는 세포를 20~30% 더 성공적으로 얻을 수 있다”며 “줄기세포를 원하는 세포로 만드는 성공률이 높아지는 만큼 ... ...
- 거짓말을 가려내는 논리력의 위대함동아사이언스 l2014.01.05
- 최근 미국 CIA에서 거짓말 수사를 하는 베테랑수사관 3명이 쓴 ‘거짓말의 심리학’에서 저자는 연구조사 결과 사람들은 통상 ‘선의의 거짓말’을 포함해 하루 평균 열 번 이상 거짓말을 한다고 기술했다. 심리학자들은 거짓말을 하는 편이 이롭다는 생각이 들면 누구나 거짓말을 하며, 난처한 ... ...
- 잦은 송년모임으로 지친 이 때, 쥬라기로 여행갈까동아사이언스 l2013.12.29
- 분포특이성에 따라 민족들이 식물을 활용한 독특한 전통지식을 발전시켜 왔다. 저자는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식물 382종을 선별하고, 관련종을 함께 다뤄 총 760종을 소개했다. 고문헌을 추적해 우리 식물이 갖게 된 이름의 유래를 밝혔으며, 왜곡되고 변질되거나 잘못 쓰이는 식물 이름 또한 ... ...
- 인간 배아줄기세포 복제…생명공학 소용돌이동아사이언스 l2013.12.23
- 5월 15일자에 발표했다. 이 논문에는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효상 선임연구원도 저자로 참여했다.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 Oregon Health & Science Univ. 제공 5월 29일 미탈리포프 교수의 논문도 사진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와 한 번 더 ‘황우석의 악몽’이 되풀이되는가 싶었지만 결국 큰 ... ...
- 생명 과학의 역사를 송두리째 바꾼 주인공 알고보니...동아사이언스 l2013.12.22
- 여름이면 숲속에서 둥지 앞을 지키고, 겨울이면 허허벌판 사냥터에서 참매만을 좇은 저자가 그동안 모은 참매의 생태와 사냥 습성에 대한 기록과 사진을 묶어 펴낸 것이 바로 이 책이다. 그동안 잘못 알려져 있었거나 우리가 미처 몰랐던 참매의 생태는 물론 이웃해 살아가는 새들의 모습까지 ... ...
- 진짜 이야기는 책 속이 아니라 자연에서 찾아보세요동아사이언스 l2013.12.15
- 책을 저술했고, 300여 편의 자연학 에세이를 남길 정도로 '과학 대중화 운동'에 적극적인 저자가 1980년대 초반에 쓴 이 에세이는 굴드 자신의 새로운 발견 혹은 이례적인 사례 연구, 학계 연구에 새로운 해석 등을 담고 있다. ‘곤충과 백인’, ‘옥수수가 되는 지름길’, ‘5의 법칙’, ‘아담의 ... ...
- 세계 최고의 학술지는 어떻게 탄생했나 ④ PNAS동아사이언스 l2013.12.13
- 것을 알 수 있다. 다이앤 슐렌버거 PNAS 편집주필은 “하이브리드 오픈액세스 방식이 저자와 독자 모두의 권리를 보장해 과학계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며 “오픈액세스 방식이 심사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비판도 있지만 PNAS에 게재 신청한 논문은 모두 NAS 회원에게 심사를 받기 ... ...
- 동화의 재구성, ‘빨간 모자’와 ‘해님달님’동아사이언스 l2013.12.09
- ATU 123에서 한 예도 없다. 반면 동아시아 민담에서는 둘 다 몇 편에서 보인다. 이 밖에도 저자는 여러 통계분석 방법을 통해 이 가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물론 언제 어디서 어떻게 두 유형이 조합돼 하나의 새로운 이야기로 태어났는지는 아직 미스터리다. 생물을 분류하고 진화적 관계를 결정하는데 ... ...
이전2062072082092102112122132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