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3,99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색소 없이 물방울로만 그린 그림
동아사이언스
l
2019.03.02
바꿀 수 있다. 이렇게 만든 물방울을 코끼리 모양으로 배치해 염료가 없이도 단지
빛
과 물방울만으로 다양한 색깔로 색칠한 코끼리를 그려내는 데 성공했다. 물방울로 그려낸 최초의 그림이다 ... ...
이스라엘 달 탐사선, 첫 궤도조정 실패하며 난항 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발사 직후 센서가 태양
빛
에 예상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밝혀져 태양
빛
이 없는 쪽에 맞춰 제한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베레시트 기술진은 이런 임시적인 조치가 컴퓨터 자동 재부팅과 연관돼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이틀 안에 자동 재부팅의 원인을 찾아내 다음 번 궤도조정 ... ...
남극 해양 탄소순환, 미생물에 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남극은 12월에서 1월 사이 짧은 여름 동안 바다를 덮고 있던 해빙이 녹아 바다가 태양
빛
을 받는다. 이때 식물플랑크톤은 긴 겨울 동안 바닷속에 축적된 영양분을 이용해 폭발적으로 자란다. 문제는 짧은 여름이 끝날 무렵이면 플랑크톤이 사라지면서 고정된 탄소도 대부분 대기로 방출되는 현상이 ... ...
청백색 조명 쬐면 아침 잠 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타액 변화 등 생리 지표와 설문조사를 통한 주관적 지표를 동시에 관찰했다. 그 결과
빛
의 색 변화에 따라 감성 등을 나타낸 주관적 지표와 멜라토닌 분비에 변화가 일어남을 확인했다. 석현정 교수는 “단순히 조명을 다양하게 바꾸며 구성원들을 편하게 쉬게 해주려는 의도에서 시작해 ... ...
난치성 질환 원인 점 돌연변이, ‘나노 눈사람’으로 빠르게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19.02.26
뮤트S 단백질이 붙는다. 연구팀은 금 나노입자와 뮤트S 단백질, DNA가 결합할 때 그 부위에
빛
을 쪼여 점 돌연변이가 일어났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또 어떤 종류의 점 돌연변이인지도 구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뮤트S와 점 돌연변이 부위 사이의 결합 속도를 비교한 결과, BRCA1을 ... ...
日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 ‘류구’에 새긴 흔적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26
하야부사2가 착륙지점을 표시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23일 미리 떨어뜨린 표적이다. 태양
빛
을 받아 반사광을 내 반짝거리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야부사2는 류구를 탐사해 생명의 기원을 조사하는 임무를 갖고 2014년 12월 3일 일본 가고시마현 다네가시마우주센터에서 발사돼 지난해 6월 27일 류구 ... ...
수억 개 세포가
빛
을 단일 이미지로 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9.02.24
사람의 시각시스템은 눈을 통해
빛
으로 들어온 시각정보의 80%까지 수집할 수 있다. 망막에서 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세포가 1억 3000만개나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뇌에서는 시각정보를 '하나의 움직이는 동영상'처럼 인식한다. 지금까지는 어떤 과정을 거쳐 대뇌가 수많은 시각정보를 ... ...
인간도 지구자기장을 느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4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안대를 써서 눈에 들어가는
빛
을 완전히 차단하거나 파란색
빛
이 제외되는 특수 안경을 썼을 때는 자기장 북쪽 방향을 찾지 못했다. 채권석 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인간의 자기감각이 존재함과 눈이 자기감각과 관련된 기관일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을 규명했다”며 ... ...
[표지로 읽는 과학] 연구팀 규모에 따라 연구결과도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3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초록
빛
바다를 유영하고 있는 여러 상어와 셀 수도 없을 만큼 함께 뭉쳐 있는 물고기의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상어는 각자 혼자서 바다를 유영하지만 물고기는 뭉쳐서 함께 이동한다. 연구의 생태계도 이와 비슷하다. 두 가지 접근법이 존재한다. 상어처럼 ... ...
해왕성 14번째 초미니 위성 발견 “40억 년 전 충돌로 형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새로운 기술을 활용했다. 카메라로 사진을 찍을 때 노출속도(셔터속도)를 길게 하면
빛
의 양이 늘어나 밝은 사진이 된다. 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2004~2016년에 걸쳐 해왕성 및 주변을 가시광선 및 적외선 연속사진으로 찍은 뒤, 위성의 공전속도를 고려해 위성이 이동한 위성 영상 픽셀의 위치를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