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은하가 탄생하지 못한다. 이어서 6000만년 전에는 우리은하가, 3개월 전에는 태양계가, 30분 전에는 지구가 (아직 있다면) 산산이 흩어진다. 종말 10-19초 전에는 마침내 원자가 분해된다. 영원한 팽창보다는 시간도 덜 걸리고 화끈한 종말이다. 다행히 최근 관측한 결과로는 빅립은 일어날 가능성이 낮다 ... ...
- 콘서트홀이 따뜻한 소리 만드는 5가지 비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전체 공간에 비해 좌석 수가 너무 많은, 나쁜 공연장의 대표입니다. 현재는 좌석이 3000석 정도로 많이 줄었지만, 여전히 1인당 부피가 6~7m3입니다.청중은 가장 예측할 수 없는 변수입니다. 만석일 때와 비었을 때 음을 흡수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청중 수가 달라져도 음악의 질을 최대한 ... ...
- 과학기술위성 3호, 관측임무 시작과학동아 l2013년 12호
- MIRIS)과 소형영상분광기(COMIS)가 탑재됐다. MIRIS엔 국내 최초로 위성에 탑재한 직경 80mm 천문용 적외선 우주망원경이 달려 있어 우리은하와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해 과학자들에게 제공한다. 지구관측카메라는 산불탐지, 지표 온도변화 모니터링에 쓰이며, COMIS는 한반도 대기오염을 감시하고 하천 수질 ... ...
- 과학으로 아기 키웠던 네안데르탈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잃어버리게 됐지요. 진화 경쟁에 밀렸다기보다 다른 인류에 자연스럽게 흡수된 거예요.2010년에 우리 네안데르탈인의 게놈 지도가 완성되면서 밝혀진 사실이랍니다.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적 차이는 0.3%에 불과하지요.그럼 이제 너희에 대해서는 다 알아낸 거네?과학자들 사이에서 우리가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논문을 읽지 않았다고 밝혔고, 결국 푸앵카레는 평생 아인슈타인을 용서하지 않았다.1680년 뉴턴의 혜성을 통해 케플러의 법칙과 만유인력의 법칙이 증명되고 천문학 분야에 꽃이 피었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우주를 이해하는 데 수학이 결정적 역할을 해왔지요. 아래에 나오는 많은 ... ...
- [W5 코드 브레이커] 수학과 함께 달려온 암호의 역사수학동아 l2013년 12호
- 21세기)현대 암호 기술은 수학과 첨단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폭발적으로 발달하고 있다. 350년 넘게 풀리지 않은 수학 난제인 ‘페르마의 정리’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타원 곡선 암호’라는 새로운 암호가 등장했고, 사람의 몸에 있는 지문과 홍채의 다양성 덕분에 ‘생체 인식 암호’가 탄생했다. ...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저널에 실리는 논문들 보세요. 특히 생물학 분야 연구논문들을 보면 관련 저자들이 보통 20명은 넘습니다. 협동연구를 할 줄 모르는 독불장군은 좋은 연구 성과도 내지 못합니다.” 이와 함께 그는 연구자에게 필요한 창의적 사고는 ‘용기’에서 비롯된다는 말로 만남을 마무리했다. “창의적 ... ...
- [life & Tech] 설탕과 펙틴이 만나면 과일이 끈적끈적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못하거든요. 사과 속에 들어 있던 물이 바깥으로 새어나와 냄비 속에 흥건히 고였어요.20분 쯤 지나니 실습실 안에 향긋한 사과향기가 퍼졌어요. 물이 자작해진 냄비 속에서 사과가 잘 익었지요. 그런데 주걱으로 휘저어보니 잼처럼 끈적끈적하지 않고 죽처럼 변해버렸어요(사과농축즙). 펙틴이 ... ...
- PART 1. 해운대, 몰디브, 마이애미 해변 모두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이후 수십 년 동안 누적된 결과기 때문이다. 인류가 배출한 이산화탄소의 20%이상은 1000년 이상 대기에 남을 것이라고 한다. 과연 지구의 미래는, 인류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지구가 불타오른다PART 1. 해운대, 몰디브, 마이애미 해변 모두 사라진다PART 2.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암흑물질 탐색 계획을 발표했다. 호이어 소장도 인터뷰에서 “암흑물질 관측을 위해 20년 동안 실험기기의 성능을 높일 예정”이라고 말했다.눈에 보이지도 않고 만질 수도 없는 입자를 찾기 위해 수십 년을 보내 온 물리학자들은, 이제는 보이지도 않고 만질 수도 없으며 어쩌면 기존에 알고 있던 ... ...
이전2062072082092102112122132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