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교"(으)로 총 5,431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공학이 좋은’ 공대생, 고등학교로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일주일 앞둔 11월 6일, 서울 정신여자고등학교(이하 정신여고)에서 조금 특별한 전공 설명회가 열렸다. 발표자는 현재 공대를 다니고 있거나 갓 졸업한 ‘예스(YEHS, Young Engineers Honor Society)’의 회원들. 한국공학한림원 산하 공대생 연합동아리인 예스는 지난 10년간 전공 설명회를 40회 넘게 한 ... ...
- 눈에 보이는 양자세계,초전도 현상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수 없었다.저항이 0이 된 온도, 4.2K의 고체 수은은 어떤 도체보다도 전류가 잘 흐른다. 학교에서 배운 옴의 법칙(V=IR. V는 전압, I는 전류, R은 저항)을 떠올려보자. 이 법칙에 따르면, 저항이 0이 되면 전압을 걸어주지 않아도 전류가 계속 흐를 수 있다. 이런 물질을 슈퍼도체, 즉 초전도체(superconductor ... ...
- 수학자 열전 한국 근대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서가와 도서관, 서점에 있는 고서들도 빠짐없이 살펴봤어요. 왜 그랬냐고요?연희전문학교 졸업 후 일본 도호쿠제국대학에서 수학을 공부했어요. 여기 교수님 중에 후지하라 마쓰사부로라는 분이 있는데, 일본과 중국의 수학사에 정통했죠. 과거를 아는 것도 중요하다면서 선진국에서는 수학사 ... ...
- 불심에 담긴 수학을 찾아 황금의 땅 미얀마로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밍글라바~. 황금의 땅 미얀마 여행에 초대합니다.미얀마는 군사독재 때문에 오랫동안 외부 세계와 단절된 채 자신들만의 문화와 전통을 간직하며 살고 있었어요. 그런데 최근 미얀마에도 개방의 바람이 불면서 다른 나라와 점점 더 많이 교류하고 있습니다.쉐다곤 파고다★의 76캐럿 다이아몬드비 ... ...
- 미래 에너지 기술 이끌 인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 보도록 하는 게 우리 공모전의 목적”이라고 말했다. 국내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이나 만 16~18세 청소년, 그리고 대학(원)에 재학 또는 휴학 중인 학생 누구나 2~4인의 팀 단위로 참가할 수 있다. 주최 측은 제출서류를 간소화하는 등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51명이었고, 불면증을 호소하는 학생도 24명이 있었다.이아름 임상심리전문가는 “다들 학교에 나와서 공부를 할 정도로 일상생활에 큰 어려움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심각하게 진단내릴 아이들은 없어보인다”면서도 “다만 외상후스트레스증상과 우울증상을 같이 보이는 아이가 두 명 있었는데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 중학생 과학 올림픽! 제12회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문제 수준도 대부분 중학교 교과과정에 해당하고, 아주 어려운 문제라도 난이도가 고등학교 1학년 수준을 넘지않는다.Q. 이 대회가 학생들에게 어떤 유익을 준다고 생각하나세계의 과학 영재들이 우물 안 개구리가 되지 않고 글로벌리더로 자라는 데 도움을 준다고 생각한다. 어린 시절 ... ...
- “모든 변화는 잡지 한 권에서 시작됐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대정초등학교 4학년 1반 담임을 맡고 있는 정혜은 교사는 우연한 기회에 신청한 ‘1학급 1과학동아’ 캠페인의 무료 기부에 선정돼 놀라운 변화가 학급에서 일어나고 있다며 소식을 전해왔어요.“학기 초만 해도 10분 동안 집중해서 책을 읽는 친구들이 많지 않았어요.그런데 가 ...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일, 지오솔버가 공식 SAT 시험에서 49%, 연습 문제에선 61%의 정답률을 보여 미국 11학년(고등학교 2학년) 정도의 성적을 거뒀다고 발표했다. 연구진은 추후 과학과목까지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한국에는 수능을 준비하는 로봇이 아직 없다. 대신 전문 인력으로 거듭나기 위한 로봇은 개발 중에 있다. ... ...
- [창의] 모바일과 블록을 잇다, 모블로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재미있는 게 나오지 않을까? 바로 모블로의 이야기다.콘텐츠가 풍부한 디지털 세상은 학교나 마찬가지다. 그러나 어떤 내용이든 컴퓨터 화면만 보고 배우면 직접 체험 할 때보다 효과가 떨어진다. 오래 집중하기도 힘들고, 기껏 배운 내용도 쉽게 잊어버린다. 그렇다고 해서 실험처럼 모든 과목을 ... ...
이전2062072082092102112122132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