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적을 무력화시키는 뜨거운 광선총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작은 별자리이다 이 별자리에 관한 신화는 없으며 우리나라에서는 7원의 초저녁에 남쪽
하늘
나직이 이 별자리의 북쪽만이 겨우 보일 정도이다 탄화수소와 수증기를 촉매 존재하에 고온에서 반응시켜 수소 또는 합성가스(일산화탄소와 소소의 혼합가스), 메탄(고칼로리 가스의 제조를 목적으로 하는 ... ...
PART2 굿바이 미네랄워터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분단으로 가로막힌 북한의 물까지 ‘명품 생수’라는 딱지를 붙이고 수입된다.가격도
하늘
과 땅 차이다. 국산 생수(500ml)가 500원 수준이라면 수입 생수는 이보다 2배에서 수십배까지 비싸다.백화점에서 판매하는 500ml짜리 에비앙이 1000원, 피지워터 1800원, 해양심층수로 만든 마린파워가 5000원, ... ...
한국 천문학자, 특이천체 퀘이사 무더기로 발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가운데 한 사람을 찾는 일보다 더 어렵다”고 설명했다. 퀘이사를 찾기란 그야말로 ‘
하늘
의 별따기’인 셈이다.특히 기피영역 가운데 기피영역이라 할 수 있는 곳(은하적도에서 10° 이내)에서는 그동안 밝은 퀘이사가 10개만 알려져 있었다. 임 교수팀은 이 영역에서 밝은 퀘이사를 15개나 발견해 ... ...
과학자도 놀란 창덕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배수체계“차라리 소리와 빛을 다스리는 게 낫겠소. 이건 해도 해도 너무 어렵지 않소.
하늘
에 비를 내리지 말라고 할 수도 없는 노릇 아니오.”물을 다스리게 된 박서창은 얼굴을 울그락불그락하며 울분을 토했다. 옆에 있던 이곡도 맞장구를 쳤다.“맞소. 이 넓은 궁에 덮개를 씌울 수도 없고 ... ...
우주로 이사가는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해서 생태계를 만드는 일은 바이오스피어2보다 훨~씬 더 성공하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하늘
을 날거나 우주에 가는 일도 오래전에는 상상일 뿐이었다. 그래서 뜨거운 관심과 연구가 계속되는 지금, 우주에 살고자 하는 인류의 꿈은 결코 헛되어 보이지 않는다. 과연, 모든 숙제를 풀고 우주로 이사 ... ...
우주정거장서 초파리 1000마리와 뒹군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포착하게 된다. 고층번개는 보통 구름에서 땅으로 치는 일반 번개와 달리 구름에서
하늘
로 올라간다. 반지름과 높이가 수십km인 이 불덩이는 100~1000분의 1초만에 나타났다가 사라진다고 한다. 직접 보고 싶다는 생각도 든다.우주에서 잠을 자는 경험은 어떨까. ISS 내부가 팬이나 기계장치가 작동하는 ... ...
봄 같은 겨울이 왔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스페인 북부 산악지대에선 겨울잠에 들어갔던 곰들이 며칠 만에 깨어 어슬렁거리고 영국
하늘
에는 벌과 나비가 날고 있다. 세계기상기구는 유럽의 올 겨울 기온이 평균보다 5℃ 이상 높다고 발표했다.미국의 과학잡지 ‘사이언스’ 는 2006년 10대 과학뉴스로 극지를 덮고 있는 빙하가 점점 더 빨리 ... ...
3주년 맞은 NASA의 화성탐사로봇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증세의 패혈증형(敗血症型)과 식중독형인 급성 위장염형으로 크게 나눈다 봄철 북쪽
하늘
의 별자리 3월경 초저녁에 머리 위 근처에 나타나는 별자리로 17세기 독일의 천문학자 J 헤벨리우스가 신설한 것이다삼각근이 섬유화되어 단축되는 병 삼각근구축증(三角筋拘縮症)이라고도 한다주로 팔의 ... ...
PART3 암세포 잡는 삼총사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두부 위에 벽돌 한 장을 올려놓고 다시 그 위에 두부를 올려놓는다. 팔을 천천히 움직여
하늘
을 향해 커다란 원을 그리는가 싶더니 손으로 벼락같이 두부를 내리친다. ‘퍽’ 하는 소리와 함께 벽돌이 두 동강 났다. 하지만 벽돌 위아래에 있던 두부에는 상처 하나 없다. 중국 무술 중 최고의 파괴력을 ... ...
세종 때 도입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커다란 재앙의 징조였다. 또한 식 현상을 얼마나 정확히 예보할 수 있는가는 그 왕조가
하늘
의 명령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였다.하지만 당시 수준으로는 어떤 방법을 쓰더라도 분초까지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었기 때문에 일월식 예보에는 한 가지 역법을 주로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