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적
도서
book
저서
책자
서책
북
d라이브러리
"
책
"(으)로 총 3,538건 검색되었습니다.
합성첨가물 안 쓰는 식품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회사를 나와 식품업계의 이면을 고발한 일본의 아베 쓰카사가 2005년 펴낸 자신의
책
제목을 ‘인간이 만든 위대한 속임수 식품첨가물’이라고 지은 이유를 알 만하다. 식품매장, 친환경과 무첨가가 대세 요즘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식품매장에 가보면 친환경 제품 코너가 따로 마련돼 있는 경우가 ... ...
[재료과학]게코도마뱀 발바닥보다 접착력 큰 탄소나노튜브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떼어낼 때 필요한 힘은 10N에 불과했다. 한 변의 길이가 4mm인 테이프는 무게가 1480g인
책
을 매단 채 유리벽에 수직으로 붙어 있을 수 있다.다이 교수는 “이전에도 접착력이 강한 탄소나노튜브를 만들 수 있었지만 떼어내는 데도 그만큼 힘이 필요했다”며 “이번에 개발한 도마뱀 발바닥처럼 ... ...
억울한 우울증의 독백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반대로 너무 많이 잔다.5.초조하거나 감정에 변화가 없다.6.무기력하고 피곤하다.7.항상 죄
책
감이 들거나 한심한 존재라고 생각한다.8.한 가지 일에 집중하기 힘들다.9.죽음이나 자살을 계속해서 생각한다 ... ...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끝났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네슬 교수는 2006년 발간한 ‘먹어야 할 것’이라는
책
에서 식품첨가물에 대한 우려를 담았지만 MSG는 언급하지 않았다.현재로서는 MSG 맛을 쫓아갈 수 있는 재료가 없다. 천연조미료는 ‘감칠맛’을 내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아이스크림, 주스 풍미 더하는 ... ...
아프리카 나미브 사막의 극단 생태계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이들이 살고 있는 독특한 환경을 함께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토머스 P.페이
책
(Thomas P. Peschak)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활동하는 해양생물학자이자 사진작가. 10년 넘게 아프리카 해양과 사막을 찍고 연구해왔다. 올해의 BBC-셸 야생 사진가 상, 피지 사진 상 등을 수상했다. ‘과학동아’ ... ...
SPORE, 게임에 진화가 팍팍?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전화 인터뷰에서 “리처드 도킨스나 에드워드 윌슨 같은 저명한 진화생물학자들의
책
을 보고 이 게임을 생각하게 됐다”고 말했다.물론 그는 “과학자들을 찾아가 조언을 얻는 데 많은 시간을 들였다. 하나의 게임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연구의 양은 어마어마하다. 그 중에서 게임에 사용할 수 있는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이구동성으로 ‘예스, 자일링거!’라고 외친다고. 아직 영문판은 나오지 않았다.
책
제목을 한글로 옮기면 ‘양자역학’과 ‘아인슈타인의 유령’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마법 같은 제2의 양자혁명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우주에서 몸무게 0, 다이어트 고민 끝 ... ...
조선만의 하늘 갖겠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없이 뜯어서 맞추는 간단한 조립 과정 3 만들고, 실험하고, 관찰하고 체험하는 과정을
책
한 권에 쏙~ 4 세계 최초로 교재와 교구가 하나로 통합된 합본 도서 5 초·중·고 수준별 맞춤학습 OK ... ...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언어 잘 배우나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일본은 번역이 워낙 잘 돼 있어 이공계 분야 대부분이 대학졸업 때까지 일본어
책
만 봐도 충분히 공부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일본의 과학기술이 세계수준에서 떨어지는 건 아니죠.”KAIST 수학과 한상근 교수 역시 영어교육에 지나치게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는 우리 현실에 우려를 표현했다. 한 ... ...
마법 같은 제2의 양자혁명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다세계해석 같은 설명도 있다.영국의 물리학자 로저 펜로즈는 ‘황제의 새 마음’이라는
책
에서 인간의 의식이 양자적인 중력이론에 따른 양자측정과 관련될지도 모른다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또 미국 MIT 물리학과 교수인 맥스 테그마크는 인간의 뇌가 양자역학적인 효과가 유지되기에는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