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상"(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민하는 초파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친구들! 세상에서 가장 똑똑하고 힘이 세고 사악한 닥터 그랜마야. 으하하, 이제 지구를 정복하기까지 얼마 남지 않은 것 같아. 그런데 심각한 문제가 생겼어. 내가 지구 정복을 눈앞에 두고 엄청난 고민에 빠져 버렸지 뭐야? 친구들도 내 고민을 한번 들어볼래? 지구를 정복하려면 사람을 먼저 ... ...
- [시사] 서양수학사에 한 획을 그은 수학의 명가 베르누이 가문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생긴 것이다. 두 형제간의 논쟁은 4년 동안이나 이어졌고, 화해를 하지 못한 채 야곱은 세상을 떠났다. 최단강하선 문제란 중력장에서 주어진 두 점 사이를 움직이는 질점★ 중 가장 빠르게 하강하는 곡선이 무엇인지 찾는 것이다. 답은 사이클로이드의 한 호다. 이는 요한의 업적으로 널리 알려져 ... ...
- [재미] 최종회 변 이장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있던 문 반장이 감탄하며 말을 꺼냈다.“어머나! 정말 똑같은 모양의 땅으로 나뉘었네요? 세상에! 그럼 변 이장에 대한 소문이 다 헛소문은 아니었나 봐요. 반장님, 어서 양계장 경계에 해당하는 곳으로 가 보세요. 발빠른 변 이장이 또 무슨 수를 쓰고 있을지 몰라요. 어서요.”“그래. 문 반장, 내가 ...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사인펜 잉크에는 컴퓨터가 감지하는 파장의 빛을 내놓는 색소가 들어 있답니다.우와! 세상에! 신기한 펜신기하고 재미있는 능력을 가진 필기구로 시험 공부를 하는 건 어때? 절대 절대 지루하지는 않을걸? 어떤 능력이 있냐고? 지금 바로 알려 주겠어!볼펜과 연필의 장점만 더했다! 지워지는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정리를 처음 이해했을 때, 솔직히 별로 놀랍지 않다는 느낌이었다. 왜냐하면 우리가 세상에 대해서 믿고 있는 명제들이 모두 다 증명 불가능하기 때문이다.그럼에도 우리는 우주의 질서를 파악하기 위해서 실험도 하고 검증도 하며 이론을 정립해서 확신을 키워가는 과정을 거듭한다. 물론 거기서 ...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문제였을까? 알다시피 서로가 같은 공간에 있었던 시간이 달랐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은 3차원이다. 직선 위의 세계가 1차원, 평면 위의 세계가 2차원이라면 가로, 세로, 높이 세 방향이 만드는 공간이 3차원이다. 약속을 잡을 때 만나는 장소(공간좌표)와 시간을 함께 정하면 서로 엇갈리는 ... ...
- PART2. 핵융합의 원리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핵융합은 두 가지 대표적인 방식이 있다. 자성으로 플라스마를 가둬 핵융합을 일으킨다.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물리공식인 ‘E=mc2’은 아인슈타인이 1905년 ‘질량-에너지 등가원리’를 다룬 논문에서 처음 등장한다. 이 공식은 원자핵 반응에서 나타나는 질량결손(줄어듦)이 에너지로 바뀔 수 있음을 ...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소리를 지르며 환호했다고 하네요. 제 이름으로 된 트위터 계정을 만들어서 “안녕, 세상아!(Hello World!)”라는 인사도 올렸다니 참. 하지만 제 관심은 오직 하나, 추리입니다. 그리고 지난 8월 6일, 드디어 그녀를 만났습니다.가을바람 소리가 나는 그녀‘또고또고또고’ 이게 무슨 소리 같나요? 바로 ... ...
-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잔잔한 바다에서 스노클링을 할 수 있었다는 것도 알게 됐다. 환초 안과 밖은 전혀 다른 세상이었다.“여기는 불행한 아이들이 없어요”처음에는 낯설어 하던 학생들이 하루이틀 지나자 우크렐레 반주에 맞춰 노래를 부르고, 별빛 아래 같이 춤을 추며 벽을 허물어갔다. 이재원(서울 목동고 1), ... ...
- [fun] “알고리듬이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사이에 우리는 인간성을 잃어버리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알고리듬으로 돌아가는 세상에서, 알고리듬을 끊어내기란 불가능하다. 저자의 마지막 주장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만물의 공식’ 즉 알고리듬을 좀 더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며 끊임없이 질문을 던져야 한다고. 그것만이 ... ...
이전2062072082092102112122132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