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태
형편
사정
정세
현상
현황
사태
d라이브러리
"
상황
"(으)로 총 6,356건 검색되었습니다.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랩 온어 칩의 가장 큰 특징은 분석 시간이 짧고 시료가 적게 든다는 점이다. 응급
상황
시 환자의 상태를 랩온어 칩으로 대략 파악하고 세부 검사나 치료에 돌입할 수 있다. 골든타임을 절약하는 셈이다. 또 여러 가지 시료를 한꺼번에 분석할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하다. 학술지 ‘네이처’는 랩 온어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보드(입출력이 가능한 전자장치를 개발하는 플랫폼)가 있다. 우주비행사들은 누구나 비상
상황
을 대비해 기초적인 전자공학 기술을 배운다. 우주인 훈련 마지막 단계로 나는 유타사막에서 오픈소스 하드웨어를 이용해 소형위성인 큐브샛과 큐리오시티 탐사로봇을 만들었다. 이 경험을 활용해 3D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많이 먹을 몸이 아니다…그런데 많이 먹는다이제 인간은 탐식을 주체하지 못하는
상황
에 이르렀다. 탐식 때문에 자주 먹더라도 섭취량이 적으면 괜찮다. 문제는 ‘과식’이다. 전 인류는 과식하는 식습관때문에 비만이나 성인병 같은 여러 가지 문제를 겪고 있다. 음식은 다다익선이 아니다. 몸에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없습니다. 휴게소에 가고 싶지만 도로를 꽉 메운 차들 때문에 제자리에서 꼼짝도 못하는
상황
을 생각해 보세요. 이럴 때 드론이 멀리서 시원~한 아이스크림을 들고 와 준다면 어떨까요? 물론 아이스크림이 녹기 전에 말이죠. 실제로 미국의 인터넷 쇼핑몰 아마존은 드론을 이용한 배달 서비스 ... ...
화성에서 살아남아라, 반드시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방법을찾는다.만약 먼 미래에 화성에서 위급한
상황
에 처한다면 와트니를 떠올려 보자.
상황
을 숫자로 바꿔 생각할 수 있다는건 화성에서도 생존할 확률을 높이기 때문이다 ... ...
[과학뉴스] 고슴도치 로봇으로 혜성 탐사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혜성에 착륙한 탐사로봇 필레는 그늘에 갇혀 연락이 두절됐지만, 헤지호그는 같은
상황
에서 땅을 박차고 뛰어오를 수 있고 자신보다 훨씬 큰 장애물도 뛰어넘을 수 있다. 지난 6월 우주의 미세중력권에서 동작 실험을 한 결과 부드럽거나 거친 표면 모두에서 성공적으로 작동했다. 제작비도 기존 ...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5달러를 땄다’는 긍정적인
상황
보다 ‘택시가 튄 물에 흠뻑 젖었다’는 부정적인
상황
에 더 활짝 웃은 것으로 나타났다. 녹색 눈의 괴물을 조심하라“이러고 싶지 않은데 왜 이런 마음이 들까.”아마 친구의 불행에 묘한 기쁨을 느껴 본 사람이라면 대부분 이런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정말 ... ...
오감만족 수학 놀이터 군포수학체험관에 가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당연히 손으로 푸는 게 아닌가?문제집에 나온 수학문제를 제시간에 풀려면 문제 속
상황
을 상상해야 한다. 학교나 학원에서 ‘크기가 다른 두 톱니바퀴가 다시 맞물릴 때가 언제인지’ 묻는 문제를 풀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곳에서는 직접 톱니바퀴를 돌리고, 퍼즐 조각을 맞추면서 ‘손으로’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지구로 보내는 데는 수 년이 걸린다. 화성 및 소행성 탐사로 관측데이터가 점점 많아지는
상황
에서 느려터진 통신망은 심각한 문제다.징검다리 위성으로 정보 릴레이현재 사용하고 있는 심우주통신망의 문제는 중계기가 없다는 점이다. 우리가 평소에 쓰는 무선통신망을 생각해보자. 친구와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부합하지 않았다.중력과 전자기력과 강한 핵력, 약한 핵력양자역학이 등장하면서
상황
은 더욱 흥미진진해졌다. 1920년대 말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포크와 독일의 프리츠 론돈은 바일의 게이지 이론과 새로 나온 양자이론을 연결시키기 위해 흥미로운 아이디어를 냈다. 이전에 바일은 길이를 재는 자의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